회의록을 불러오는 중입니다.

제256회 제1차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프린터하기

[본 회의록은 최종 교정 전 임시회의록이므로 법적 효력이 없습니다.]

제256회공주시의회(제2차정례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회의록

제1호

공주시의회사무국


일  시  2024년 11월 27일(수)  09시 30분

장  소  의회특별위원회 회의실


  1. 의사일정
  2. 1. 위원장 선임의 건
  3. 2. 부위원장 선임의 건
  4. 3. 2024년도 제3회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
  5.   가. 실 및 읍면동 소관
  6.       - 기획감사실(세입ㆍ세출예산, 읍․면․동 소관)
  7.       - 미래전략실                      - 홍보미디어실
  8.   나. 시민자치국 소관
  9.       - 행정지원과                      - 시민안전과
  10.       - 지역활력과                      - 회  계  과
  11.       - 세  무  과                      - 평생교육과
  12.       - 민원토지과
  13.   다. 문화복지국 소관
  14.       - 문화체육과                      - 관  광  과
  15.       - 문화유산과                      - 복지정책과
  16.       - 경로장애인과                    - 여성가족과
  17.       - 환경보호과                      - 자원순환과
  18.   라. 경제도시국 소관
  19.       - 경  제  과                      - 도시정책과
  20.       - 도시재생과                      - 허가건축과
  21.       - 건  설  과                      - 교  통  과
  22.       - 도  로  과                      - 산림공원과
  23.       - 상하수도과
  24.   마. 농업기술센터 소관
  25.       - 농업정책과                     - 농식품유통과
  26.       - 축  산  과                     - 농촌진흥과
  27.       - 기술보급과
  28.   바. 보건소 및 사업소 소관
  29.       - 보건정책과                      - 건강관리과
  30.       - 치매정신과                      - 감염병관리과
  31.       - 시설관리사업소

  1. 상정된 안건
  2.  o 보고
  3. 1. 위원장 선임의 건
  4.  o 위원장(송영월) 인사
  5. 2. 부위원장 선임의 건
  6.  o 부위원장(구본길) 인사
  7. 3. 2024년도 제3회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공주시장 제출)
  8.   가. 실 및 읍면동 소관
  9.       - 기획감사실(세입ㆍ세출예산, 읍․면․동 소관)
  10.       - 미래전략실                      - 홍보미디어실
  11.   나. 시민자치국 소관
  12.       - 행정지원과                      - 시민안전과
  13.       - 지역활력과                      - 회  계  과
  14.       - 세  무  과                      - 평생교육과
  15.       - 민원토지과
  16.   다. 문화복지국 소관
  17.       - 문화체육과                      - 관  광  과
  18.       - 문화유산과                      - 복지정책과
  19.       - 경로장애인과                    - 여성가족과
  20.       - 환경보호과                      - 자원순환과
  21.   라. 경제도시국 소관
  22.       - 경  제  과                      - 도시정책과
  23.       - 도시재생과                      - 허가건축과
  24.       - 건  설  과                      - 교  통  과
  25.       - 도  로  과                      - 산림공원과
  26.       - 상하수도과
  27.   마. 농업기술센터 소관
  28.       - 농업정책과                     - 농식품유통과
  29.       - 축  산  과                     - 농촌진흥과
  30.       - 기술보급과
  31.   바. 보건소 및 사업소 소관
  32.       - 보건정책과                      - 건강관리과
  33.       - 치매정신과                      - 감염병관리과
  34.       - 시설관리사업소

o 보고 

(09시 32분)

○의사팀장 박의경   
의사팀장 박의경입니다. 의사보고 드리겠습니다.
제256회 공주시의회 제2차 정례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 회부된 안건을 보고드리겠습니다.
지난 11월 20일 의장으로부터 2024년도 제3회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이 11월 27일까지 심사 완료토록 본 위원회에 회부됨에 따라 「공주시의회 위원회 조례」 제8조 및 제11조의 규정에 의거, 먼저 위원장과 부위원장을 선출하겠습니다.
위원장 선임을 위한 회의 진행은 동 조례 제8조제2항의 규정에 의거, 서승열 임시위원장님의 진행으로 위원장을 선출하신 후 선출된 위원장님이 이어서 회의를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09시 35분 개회)

○위원장직무대행 서승열   
눈이 펄펄 내리면 대전역 시계탑 앞으로 가야 되는데 여기 왔네, 오늘.
혹시 급하신 분들 있으면 가세요. 빼줄게.
첫사랑 만난다 하면 빼줘야지, 어떻게 해.
임시위원장 서승열 위원입니다.
의석을 정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제256회 공주시의회 제2차 정례회 제1차 예산결산특별위원회를 개회하겠습니다.
존경하는 동료 위원 여러분! 
의사팀장의 보고와 같이 본 위원이 「공주시의회 위원회 조례」 제8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이 선임될 때까지 그 직무를 대행하겠습니다.
본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원만히 진행될 수 있도록 협조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위원장 선임의 건

(09시 35분)

○위원장직무대행 서승열   
의사일정 제1항 위원장 선임의 건을 상정합니다. 
「공주시의회 위원회 조례」 제8조제1항 규정에 따라 위원장은 위원님들의 호선으로 선임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위원님들께서는 위원장으로 선출하실 위원님을 추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표 위원님.
이상표 위원   
우리 송영월 위원님을 추천합니다.
○위원장직무대행 서승열   
방금 이상표 위원님께서 송영월 위원님을 추천해 주셨습니다.
재청 있으십니까? 
(「재청합니다」 하는 위원 있음)
재청이 있으므로 이상표 위원님의 추천 동의가 성립되었습니다.
더 추천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더 추천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송영월 위원님을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임하고자 하는데 위원 여러분! 이의 없습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이의가 없으므로 의사일정 제1항 위원장 선임의 건은 송영월 위원님이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임되었음을 선포합니다.
회의 진행에 협조해주신 위원님 감사합니다.
그럼 위원장으로 선임되신 송영월 위원님 앞으로 돌아오셔서 회의를 계속 진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o 위원장(송영월) 인사
○위원장 송영월   
지금까지 회의를 진행해 주신 서승열 위원님 수고 많으셨습니다.
먼저 본 위원을 위원장으로 선출해 주신 동료 위원님들께 감사드리면서 2024년도 제3회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 심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위원님들의 많은 조언과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그럼 계획된 의사일정에 따라 회의를 계속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2. 부위원장 선임의 건

(09시 37분)

○위원장 송영월   
의사일정 제2항 부위원장 선임의 건을 상정합니다. 
위원님들께서는 부위원장으로 선출하실 위원님을 추천해 주시기 바랍니다.
예, 권경운 위원님.
권경운 위원   
구본길 위원님을 추천합니다.
○위원장 송영월   
방금 권경운 위원님께서 구본길 위원님을 추천해 주셨습니다.
재청 있으십니까? 
(「재청합니다」 하는 위원 있음)
재청이 있었으므로 권경운 위원님의 추천 동의가 성립되었습니다.
더 추천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더 추천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구본길 위원님을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선임하고자 하는데 위원 여러분! 이의 없습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이의가 없으므로 의사일정 제2항 부위원장 선임의 건은 구본길 위원님이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선임되었음을 선포합니다.
구본길 부위원장님 인사 말씀 부탁드립니다.

 o 부위원장(구본길) 인사
○부위원장 구본길   
구본길 위원입니다.
저를 부위원장으로 선출해 주신 동료 위원님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앞으로 위원장님을 도와 2024년도 제3회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 심사가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송영월   
구본길 부위원장님 수고하셨습니다.
2024년도 제3회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을 상정하기 전에 위원장으로서 한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연일 계속되는 의정활동으로 수고하시는 위원님들과 집행부 관계 공무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2024년도 제3회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을 상정하기 전 위원장으로서 한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이번 2024년도 제3회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 심사는 한 해를 마무리하며 우리 시의 재정 상황을 점검하고 남은 예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중요한 기회입니다.
특히 올해는 여러 이유로 예산 반납 건이 많은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예산 집행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예상치 못한 상황들이 반영된 결과라고 생각하며, 향후 효율적인 재정 운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철저한 계획과 실행이 필요할 것입니다.
이에 따라 심사 위원들께서는 본 위원회에서 심사하게 될 2024년도 제3회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이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편성될 수 있도록 심도 있는 심사를 해주시길 바라며, 미비한 점에 대해서는 합리적인 개선 방향을 제시해 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3. 2024년도 제3회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공주시장 제출)

(09시 40분)

○위원장 송영월   
의사일정 제3항 2024년도 제3회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을 상정합니다. 
2024년도 제3회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은 제1차 본회의에서 충분한 제안 설명이 있었으므로 제안설명을 생략하고 전문위원의 검토보고를 듣고 심사를 진행하겠습니다.
전문위원 나오셔서 검토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전문위원 이종만   
전문위원 이종만입니다.
2024년도 제3회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에 대하여 검토보고 드리겠습니다.

(검토보고서는 부록에 실음)

○위원장 송영월   
전문위원 수고하셨습니다.
먼저 위원님들과 각 부서장께 부탁 말씀드리겠습니다.
원만한 회의 진행을 위하여 해당 부서 예산안 설명을 들은 후에 질의답변하는 순으로 진행하겠습니다.
예산안을 설명하는 부서장은 주요 사업 위주로 간단명료하게 설명해 주시되, 중요한 부분은 충분히 설명해 주시고 삭감액은 꼭 필요한 부분만 간추려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먼저 실 및 읍면동 소관 부서 순서로, 기획감사실 및 읍면동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기획감사실장은 2024년도 제3회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에 대한 총괄 설명을 해주시고, 기획감사실 및 읍면동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획감사실장 조선기   
기획감사실장 조선기입니다.
2024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 회계별 예산 규모 및 세입ㆍ세출 총괄에 이어 기획감사실, 읍면동 소관 세출 사업과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페이지 5쪽입니다.
예산총칙으로 2024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의 규모는 1조 3639억 원으로, 일시차입 한도액은 예산 규모의 3% 범위인 409억 1700만 원이며 일반예비비는 30억 원입니다.
다음은 페이지 9쪽, 회계별 예산 규모입니다.
2024년도 제3회 추경 예산 총규모는 1조 3639억 원으로, 2회 추경 예산 규모와 동일합니다.
일반회계는 기정액 1조 2462억 원에서 51억 원 감소한 1조 2411억 원, 공기업 특별회계는 기정액 751억 원에서 45억 원 증가한 796억 원, 기타 특별회계는 기정액 426억 원에서 6억 원 증가한 432억 원입니다.
다음은 10쪽, 세출 총괄입니다.
총세입 규모는 2회 추경 예산과 동일한 1조 3639억 원으로, 자체세입은 연말까지 징수 가능한 최종액을 반영하여 지방세는 16억 원을, 세외수입은 25억 원을 각각 증액하였습니다.
지방교부세는 국세 세수 재추계에 따른 행안부의 감액 통보에 따라 140억 원을 감액 편성하였으며 이에 우리 시는 집행 불가 사업 94억 원, 예비비 161억 원을 감액하여 교부세 감소에 대응하였습니다.
11쪽, 국도비 보조금은 기정액 11억 원 증가한 5159억 원을, 보전수입 등 내부거래는 특별회계 순세계잉여금 등을 반영하여 기정액보다 48억 증가한 2294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6쪽, 세출 총괄입니다.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 총세출 규모는 1조 3639억 원으로, 국도비 보조금 최종 교부액을 반영하였으며 연내 집행이 어려운 사업을 정리하고 예비비를 삭감하여 남은 여유재원 66억 원을 통합재정안정화기금에 적립하여 2025년도 가용재산으로 활용하고자 합니다.
주요 증액사업으로는 조직개편과 관련 사무실 공사ㆍ이사비용 및 집기 구입 등에 9억 원, 2024년 7월 지방하천 호우피해 복구비 7억 원, 임업직불금 36억 원, 공주 미식문화공간 조성사업 부지 매입비 30억 원 등을 반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총괄 설명을 마치고 기획감사실 및 읍면동 세출 예산을 설명드리겠습니다.
페이지 68쪽입니다.
기획감사실 소관 제3회 추경 예산안은 기정액 214억 3800만 원보다 95억 8000만 원이 감소한 118억 5700만 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기획감사실 3회 추경 예산은 대부분 집행이 완료된 사업들의 잔액을 삭감하는 사항이며 68쪽 하단 내부거래 지출, 통합재정안정화기금 전출금 66억 원은 세출 구조조정을 통해 남은 여유재원을 통합재정안정화기금에 전출하는 사항입니다.
다음은 읍면동 소관 세출 예산입니다.
491쪽부터 시작되는 읍면동 사업 예산 또한 대부분 집행잔액을 정리하는 사업으로, 총 4억 9800만 원을 감액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일반 및 특별회계 예산 설명을 마치고, 다음은 별도 배부해드린 책자를 통해 2024년도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에 대해 총괄 설명드리겠습니다.
5쪽입니다. 기금운용계획 총괄입니다.
금번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변경 요구된 기금은 총 2개로, 기획감사실 소관 통합재정안정화기금 통합계정 및 재정안정화 계정과 도시정책과 소관 옥외광고 발전기금입니다.
기금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페이지 15쪽입니다.
통합재정안정화기금 통합계정은 각 특별회계에서 예수한 여유재원을 운용하는 기금으로, 공공예금 이자수입 493만 7000원과 하수도공기업 특별회계 예수금 수입 38억 원, 농촌 농공지구 조성사업 특별회계 예수금 수입 1506만 3000원을 반영하여 기정액보다 38억 2000만 원이 증가한 97억 63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25쪽입니다.
통합재정안정화기금 재정안정화 계정은 일반회계의 재원이 부족할 시 전출하고 일반회계에서 집행하고 남은 여유재원을 기금으로 전입하여 연도별 재정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운영하는 기금으로, 공공예금 이자수입 131만 5000원과 일반회계 전입금 66억 원을 반영하여 기정액보다 66억 131만 5000원 증가한 1617억 8161만 3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5쪽입니다.
옥외광고 발전기금은 옥외광고물 등 정비ㆍ개선을 통해 쾌적한 환경 조성을 위해 운용하는 기금으로, 예치금 252만 6000원을 삭감하여 국고보조금 반환금으로 활용한 사항입니다.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김권한 위원님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김권한 위원   
통합재정안정화기금에 대해서 여쭤보겠습니다.
지금 기금 조성 규모로만 보면 2023년도에 비해서 얼마가 줄은 거죠? 440억이 줄은 건가요?
○기획감사실장 조선기   
조성액이요?
김권한 위원   
440억이 줄은 걸로 지금 보이는데, 지금 운용계획 변경안 자체를 보면 사실은 한 50억 정도밖에 안 줄었어요.
○기획감사실장 조선기   
총규모는 현재……
김권한 위원   
총규모가 2023년도 조성액이 지금 1600억이죠? 합계가.
통합계정하고 재정안정화기금 합계가 1600억인데, 2024년도 말 조성액은 1160억이라고 지금 기록되어 있거든요.
그런데 지금 ’23년도 3회 추경에 보면 안정화기금이 1600억이 있다고 되어 있어요. 
지난해보다 오히려 좀 늘었어요. 
한 50억이 늘었는데? 어떻게 제가 이해를 해야 되죠?
’24년도 말 통합안정화기금이 총 얼마입니까, 지금? 
이번 예산안이 통과된 걸로 기준 할 때.
○기획감사실장 조선기   
총 안정화기금이 저희들이 하면 1067억 8000만 원 정도.
김권한 위원   
얼마요?
○기획감사실장 조선기   
1067억. 연도 말 조성액……
김권한 위원   
그러니까요.
○기획감사실장 조선기   
이게 왜 그러냐면요.
기금에서 일반회계로 550억을 저희들이 전출을 했거든요, 예산을 하기 위해서.
그러면 연도 말에 저희들이 쓴 걸 제외하고 지금 현재 구성액은 1617억인데 거기서 550억을 빼면 한 1067억 정도가 2024년도 말 조성액입니다.
김권한 위원   
지금 2회 추경에서……
저는 어떻게 이해를 했느냐면, 지금 2회 추경하고 3회 추경은 정리추경이니까 총 예산액 규모는 변함이 없잖아요. 그렇죠?
○기획감사실장 조선기   
기금은 거기에는 들어가지 않습니다.
김권한 위원   
예, 당연히 들어가지 않는데 이제 1조 3000억에서 정확하게 100%로 맞추셨잖아요.
그런데 지금 정확하게 100%를 맞추기 위해서 그러면 올해 예산 규모가 어느 정도 되느냐 봤더니 반납하는 거 다 반납하고 해도 결국 안정화기금에서 38억, 또 통합계정이 38억, 재정안정화기금에서 66억을 갖다 쓰셨어요.
그래서 플러스, 마이너스, 제로를 맞춘 걸로 저는 이해를 했거든요. 맞나요? 
그래서 2회 추경 때…… 아, 쓰신 게 아니고 더 들어간 거죠.
2회 추경 때는 기금이 1726억이었는데 3회 추경 때는 1830억이 된 거예요.
이 중에서 통합재정안정화기금이 60억에서 97억 하나 늘었고 재정안정화 계정에서는 1500억에서 1600억으로 늘었거든요.
제 말씀 이해는 하시죠? 
그래서 맞춰놓은 금액이 한 1700억 정도. 통합계정하고 안정화기금 더하면.
그런데 2023년도 조성액은 오히려 지금 1160억으로 550억을……
이게 지금 여기서 이 상태에서 뺀 상태인 거잖아요.
그러니까 지금 제 설명이 맞거나, 또 한 가지는 지금 예산안을 다 세운 다음에 550억을 이 예산안에서 일반회계로 편입하거나. 3회 추경 때. 
뭐가 맞습니까?
○기획감사실장 조선기   
기금은 저희들도 지금 보면 일반회계 예산이 1조 3639억이잖아요.
그러면 이거는 누적으로 따지는 거죠. 
저희들이 예산을 집행하고 남은……
김권한 위원   
그러니까요.
○기획감사실장 조선기   
그렇듯이 기금도 일단 연도별 2023년도에서 2024년도로 넘어갈 때 조성액이 금액이 얼마냐 하면 총 합해서……
김권한 위원   
’23년도? 1600억이요.
○기획감사실장 조선기   
예, 거기에서 이자수입이나 저기가 있잖아요.
그러니까 지금 상수도공기업인가? 특별회계 전입금 38억 원과 일반회계 전입금 66억, 그다음에 이자수입 포함하면 증액되는 거고……
김권한 위원   
자, 알겠습니다.
그러면 쉽게 그냥 풀면, ’23년도 말에 1610억이 있었는데 ’24년도에는 여기에 100억의 수입에 550억의 지출을 통해가지고 현재 잔고가 1160억이라는 건가요?
○기획감사실장 조선기   
예, 그렇게 따져야죠.
김권한 위원   
왜 이렇게 많이 줄었죠?
○기획감사실장 조선기   
550억을 저희들이 활용을 했잖아요, 일반회계를.
김권한 위원   
지금 교부세가 얼마가 내려왔죠? ’23년 대비.
○기획감사실장 조선기   
교부세요?
김권한 위원   
예.
○기획감사실장 조선기   
잠깐만요.
김권한 위원   
교부세가 얼마 내려와서……
○기획감사실장 조선기   
지금 당초 계획에서는 4123억이 내려온다고 했었는데, 국세 세입이 감소되는 바람에 3983억이 저희한테 내려왔습니다.
김권한 위원   
그럼 얼마가 덜 내려왔죠?
○기획감사실장 조선기   
140억이 감돼서 내려왔습니다.
김권한 위원   
140억이 감소했는데 통합재정화기금을 450억을 썼으면 400억을 사실은 재정 규모가 늘어난 건가요?
그런데 왜 지난해 지출액 대비 전체 규모는 400억이 늘었나요? 뭐가 맞습니까?
○기획감사실장 조선기   
이거는 본예산에 300억 쓰고 2회 추경…… 
(예산팀장에게)연도별로 어떻게 들어갔죠, 예산팀장님?
○예산팀장 양현목   
(공무원석에서)제가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일단은 교부세부터 설명을 드리면, 올해 550억의 재정안정화기금을 일반회계로 갖다 썼는데 사실 연초에 교부내시 해준 것보다 140억이 덜 내려왔습니다.
그런데 이게 예년의 기준으로 본다면 4300억에서 4500억이 내려와야 되거든요.
그런데 연초에 교부내시 할 때 아예 적게 교부내시를 해줘버린 것일 뿐이지, 평균치로 교부내시를 해줘서 그게 줄어서 나중에 이렇게 한 게 아니고 연초부터 300억에서 400억을 더 줄여서 교부내시를 해버린 그런 상황이기 때문에 140억밖에 안 줄였지만 실제 저희들이 갖다 쓸 돈은 500억 이상의 돈을 갖다 쓸 수밖에 없었고.
또 하나, 좀 아까 기금운용계획에서 증가한 부분에 대해서 여쭤보셨는데 지금 25쪽 표에 있는 총계는 지금 현재 저희들 통장에 있는 그 돈을 얘기하는 게 아닙니다.
그냥 아까 기획실장이 얘기했다시피 지출과 수입이 다 합쳐져서 이 총규모가 된 것이지, 실제 저희 통장에는 여기에 있는 1617억이 아니고 이것은 이제 플러스ㆍ마이너스 된 금액까지 다 총규모를 더했을 때 1617억일 뿐이고 실제 중요한 저희 통장에 잔고가 얼마나 있느냐 이 부분은 예치금 부분을 이제 보셔야 됩니다.
그게 실제 저희들이 갖고 있는 돈 이렇게 이해를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총계가 저희들이 갖고 있는 돈이 아니고 예치금 부분이 저희들이 갖고 있는 돈이다 이렇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김권한 위원   
어차피 들어올 것 아니에요? 
예치금이 지금 1000억 있다는 건데 그렇다고 해서 1000억이 있는 건 아니잖아요.
○예산팀장 양현목   
(공무원석에서)1000억의 예치금이 있는 겁니다, 지금 통장에.
저희들 실제 통장에 들어와 있는 돈은 1000억입니다, 지금.
김권한 위원   
160억은 들어올 예정이고?
○예산팀장 양현목   
(공무원석에서)예, 그러니까 그렇게 들어와서 됐을 때 예치금 합계가 1067억이 된다 이렇게 이해를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김권한 위원   
우선 이해는 제가 했고요.
제가 길게 말씀드렸는데, 이제 걱정되는 점.
계산대로라면 평년에 물론 통합재정화기금 운용을 굉장히 잘하셔서 다른 시군에 비해서 예산 규모가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평년작은 지출을 하고 있는 거잖아요.
그런데 평년 지출을 하고 있다면 당장에 경기가 좋아진다라고 아무도 생각을 못 하죠.
계속 기금은 그냥 교부세는 이 정도 그냥 내려온다라고 보면 될 것 같은데, 그럼 2년이면 떨어지네요? 
그거에 대한 대비도 세워놓으셨겠죠?
○예산팀장 양현목   
(공무원석에서)사실 내년도 교부내시가 확정은 되지 않았지만 이제 기재부나 행안부 쪽에서 미리 언질을 주기로는 올해 수준 정도 될 것 같다라는 그런 이야기가 있고, 더 늘어나지는 않을 것으로 저희들은 예측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쨌든 간에 저희들이 지금 우려하시는 대로 지출 규모를 줄이지 않으면 평년대로 그대로 지출하게 되면 지금 이 상황처럼 계속 재정안정화기금을 대규모로 갖다 써야 되는 그런 악순환이 계속되는 거거든요.
그래서 그 지출 구조조정이라든가 그 부분을 위험이 없이 해소할 수 있는 그런 방안들을 저희들이 사실 좀 미리 모색은 하고 있습니다.
김권한 위원   
알겠습니다.
우리 동료 위원 여러분, 돈이 많이 없답니다. 2년이면 돈 떨어진답니다.
본예산 하실 때 감안해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입니다.
○위원장 송영월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더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2024년도 제3회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에 대한 총괄 설명과 기획감사실 및 읍면동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기획감사실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미래전략실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미래전략실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래전략실장 김진용   
미래전략실장 김진용입니다.
미래전략실 소관 예산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예산안 75페이지입니다.
미래전략실은 기정예산 101억 5700만 원보다 3억 6700만 원을 증액한 105억 2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사업을 설명드리겠습니다. 75쪽 중간입니다.
공공기관 유치 홍보탑 설치비 2000만 원과 공공기관유치위원회 활동비 1000만 원을 감액하였습니다.
사유는 동현 공공청사 부지 초입에 설치하려던 홍보탑에 조감도를 넣어서 설치하려 하였으나, 현재 조감도가 확정되지 않아 조감도가 확정되는 시점에 맞춰 설치코자 합니다.
바로 아래, 공공기관유치위원회 활동 지원비는 제2차 공공기관 이전계획이 연기됨에 따라 2024년 위원회를 구성하지 않았고 이에 활동비를 감액코자 합니다.
2025년 공공기관 이전계획 발표에 따라 적극 대응코자 합니다.
바로 아래, 대외협력사무소 운영에 따른 기간제근로자 인건비 1400만 원을 감액하였습니다.
기간제근로자 채용이 어려워서 9월부터 3개월 단기 근로자를 채용하여 운영하였습니다.
75쪽 하단입니다. 온누리공주시민 혜택 마일리지 제공 7500만 원을 감액하였습니다.
신규 가입 시 지급되는 온누리공주 마일리지 5000점을 공주페이로 일괄 전환할 수 있도록 예산을 편성했으나, 고맛나루장터와의 상생 및 예산의 효율적 운용을 위해 월 1회 소요 마일리지의 최대 50%, 한 달 최대 5000원 한도로 제한함에 따라 12월 소진 마일리지를 감안하여 차액을 감액하였습니다.
다음 76쪽 중간입니다.
세부사업은 공주시 내고장 주소갖기 사업으로 편성목은 주민등록 전입지원, 일반보전금, 기타보상금 301-14로 2억 7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연내 신규 전입자 수요를 반영하여 부족분 2억 7000만 원을 요청드립니다.
이어서 출산장려금 지원으로 편성목은 일반보전금, 사회보장적수혜금 301-03으로 1억 2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현재 집행잔액 1억 7000만 원으로, 앞으로 수요 발생 시 원활한 지급을 하기 위해서입니다.
다음 76쪽 하단입니다.
세부사업은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사업으로 편성목은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 일반보전금, 사회보장적수혜금 301-01로 7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의 주거비 부담 경감을 위하여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사업으로 도내 시군 간 조정교부에 따른 예산을 추가 편성코자 합니다.
이상으로 미래전략실 예산안을 설명드렸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김권한 위원님.
김권한 위원   
공공유치 기관 홍보탑 설치할 때 걱정을 많이 했었어요.
그 송선 어디죠? 공공부지 위치에 하겠다라고 하셨는데 결국 취소됐네요? 
그런데 본예산에 5000만 원이 올라와 있어요.
듬뿍 더 쓰셨던데?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미래전략실장 김진용   
저희가 조감도를 좀 넣어서 그리면 훨씬 더 홍보효과가 있겠다 싶어서……
김권한 위원   
차 타고 가다가 볼 수 있습니까, 조감도가?
○미래전략실장 김진용   
예, 그래서 조감도를 넣는 쪽으로.
그런데 아직 조감도가 안 나와서 올해는 삭감하고 내년 본예산에 좀 반영하여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김권한 위원   
알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위원장 송영월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더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미래전략실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미래전략실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홍보미디어실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홍보미디어실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홍보미디어실장 김규태   
홍보미디어실장 김규태입니다.
79쪽입니다. 홍보미디어실 소관 2024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기정액 69억 2297만 8000원에서 1억 695만 원이 삭감된 68억 1602만 8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80쪽이 되겠습니다.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201-01 사무관리비에 메타버스공주 보고회 자문위원 참석수당으로 1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가상공간을 활용한 메타버스공주 구축 용역의 중간 및 완료 보고회 개최에 따른 전문위원의 참석수당이 되겠습니다.
바로 아래, 301-14 기타보상금으로 누리소통망 서포터즈 원고료 108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공주시의 축제, 행사, 관광, 시정정보 등 SNS 서포터즈 원고료의 지급기준 변경으로 월 최대 원고료 지급건수 증가로 인한 비용이 되겠습니다.
하단에 홈페이지 시스템 운영 201-01 사무관리비 제안서 평가위원 수당 등에 17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달 12월에 추진 계획인 2025년 공주시 홈페이지 유지관리 용역 제안평가위원회 개최에 따른 평가위원 수당이 되겠습니다.
아울러 80쪽 중간에 흥미진진공주 소식지 제작비 3000만 원과, 81쪽 상단 유해사이트 차단 시스템 구입비 2300만 원, 행정 통신요금 3600만 원 등 계약 잔액을 포함하여 1억 695만 원을 삭감하였습니다.
이상 홍보미디어실 제3회 추가경정예산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홍보미디어실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홍보미디어실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시민자치국 순서로, 먼저 행정지원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행정지원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행정지원과장 오상록   
행정지원과장 오상록입니다.
행정지원과 소관 2024년 제3회 추경 예산안에 대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87쪽입니다.
행정지원과 2024년 제3회 추경 예산은 기정예산액 381억 3500만 원보다 5억 4200만 원 감소한 375억 9300만 원입니다.
불용액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업이 미추진된 충청남도 이통장 한마음 체육대회 참가 등 5건에 대한 5700만 원과, 국내 교류도시 방문단 초청 등 7건에 대한 집행잔액 6억 8500만 원을 삭감하였습니다.
그리고 88쪽 맨 아래에 세부사업 인력운영비 304-04 공무직근로자 보험료 부담금 등 공무직근로자 퇴직금 2억 원은 예상치 못한 의원면직 및 중간정산 요구 발생으로 인한 예산 부족분을 반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행정지원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행정지원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시민안전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시민안전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시민안전과장 정연광   
시민안전과장 정연광입니다. 
시민안전과 소관 2024년 3회 추경 예산 편성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91쪽 세출 예산서입니다. 
예산 규모는 ’24년도 2회 추경 대비 2억 5100만 원이 늘어난, 증액된 152억 1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주요 변경 사항은 재해 취약지역 정비사업에 5800만 원, 국도비 보조금 반환에 4억 3100만 원, 사업 전액 감액에 10건 1억 3100만 원, 예비비 대체로 46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주요 증액 사업 위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95쪽 상단, 401-01 시설비 풍수해 위험지구 타당성조사 및 기본설계 용역 2200만 원, 또 이인우체국 손실보상금으로 368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반포면 마암리 일원에 풍수해 위험지구 타당성조사 및 기본설계 용역을 통해서 2025년도 상반기에 행안부 공모사업에 지원 신청할 예정입니다. 
95쪽 중간부, 401-01 연암 자연재해 위험 개선지구 정비에 충청남도로부터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하여 사업비 변경 승인을 받아 5억 원을 증액하였습니다. 
관련 사업인 국도비 다음 줄, 401-01 시설비 가느니 자연재해 위험지구 정비사업 5억 원은 위의 연암천 자연재해 위험지구 사업을 전환하면서 5억 원을 감액하였습니다. 
96쪽 중간, 302-02 7월ㆍ8월 호우피해 사유시설 재난지원금 992만 6000원과 농ㆍ축산업 재난지원금 3906만 7000원은 기 예비비로서 신속 지원하였던 바에 따라서 예산 대체코자 금회에 계상하였습니다. 
98쪽, 802-01ㆍ02 반환금기타입니다. 
국도비 보조금 반환금으로 28건에 대해서 4억 3137만 6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시민안전과 소관 일반회계 세출 3회 추경 주요 예산안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시민안전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시민안전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지역활력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지역활력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지역활력과장 정만호   
지역활력과장 정만호입니다. 
106쪽입니다. 지역활력과 2024년 제3회 세출 예산안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예산 증액 사업과 통계목 간 변경사업을 위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지역활력과 제3회 추경 예산안 규모는 409억 1500만 원으로, 금년도 제2회 추경 예산 414억 9800만 원보다 5억 8300만 원이 감액되었습니다. 
세부사업별로 보고드리면, 체류형 작은농장 공주여-U 조성 201-01 사무관리비 2024년 지방소멸대응기금 활용사업인 체류형 쉼터 6개소, 주말농장 5개소 조성을 위한 체류형 작은농장 공주여-U 조성사업의 운영에 필요한 소모품, 청소용품, 생활용품 등의 구입 예산으로 1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01-01 체류형 작은농장 공주여-U 조성을 위해 당초 제2회 추경 예산에 계상되었던 시설비 예산 5억 원 중 체류형 작은농장의 소모품 및 집기ㆍ비품을 위한 예산 4억 5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그 밑에 405-01 자산 및 물품취득비 체류형 작은농장 공주여-U 운영에 필요한 집기 및 비품, 에어컨, TV, 냉장고 등 구입비로 4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앞에서 설명드린 체류형 작은농장 공주여-U 조성사업의 사무관리비 및 자산 및 물품취득비는 총 시설비 예산 5억 원의 증액 없이 각 사업 간 통계목을 조정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농업ㆍ농촌 RE100 태양광 발전사업 401-01 사곡면 대중리에 마을 태양광 발전소 1개소, 개인주택 발전시설 설치 지원 6개소, 마을 공동 이용시설 리모델링 1개소를 설치하는 2024년 RE100 공모사업 추진을 위한 1차년도 사업비 세부계획 수립 용역비와 1차년도 공사비 3억 38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참고로 본 사업의 총사업비는 국비 9억 원 포함 18억 원이며, 사업기간은 2025년 12월까지입니다. 
신활력플러스사업 201-01 사무관리비 당초 예산 연구용역비 7000만 원 중 4000만 원을 감액한 예산을 활용, 전산 기록물 아카이빙, 4개년 성과자료집 제작비로 당초 예산액 1억 70만 원에서 4000만 원을 증액한 1억 407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하 예산은 기존 예산 대비 감액 예산으로 설명을 생략하고, 국도비 보조금 반환금으로 당초 2억 8767만 4000원에서 8931만 2000원이 증액한 3억 987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 지역활력과 소관 제3회 추경 예산 세출 예산안에 대해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김권한 위원님.
김권한 위원   
농촌 신활력플러스 추진단에 예산 4000만 원 증가한 게 아카이빙하고 4개년 성과자료집이네요?
○지역활력과장 정만호   
예.
김권한 위원   
아카이빙 사업에 대해서 어떡하실 건지 설명 좀 잠깐 해주시겠어요?
○지역활력과장 정만호   
그거는 임미영 팀장이 설명을 좀 드릴……
김권한 위원   
제가 여쭤본 의도는 뭐냐면, 우리가 1950년대ㆍ1960년대 공주의 자료 같은 경우에 전산화 작업이 안 됐으니까 사실 꼭 필요해요. 언젠가 그래도 사라지면 안 되잖아요.
그런데 최근의 작업들이 전산화 작업이 안돼서 아카이빙을 하겠다라고 하는데, 솔직히 말씀을 드리면 그 자료가 “전부 다 오후에 제출하세요” 하면 전부 다 제출할 수 있을 자료 같은데 이거를 2000만 원을 들여서 아카이빙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여쭤보는 겁니다.
○사회적공동체팀장 임미영   
(공무원석에서)예, 저희 공동체센터 홈페이지가 있는데 지금까지 활용을 잘 못해서 좀 리뉴얼을 하면서 거기 안에 저희가 이제 4년 동안 했던 성과를 만들 수 있는 매뉴얼을 만들고 지금까지 저희가 책자나 뭐 이런 일부 신활력사업에 대한 그런 사진자료집 이런 거를 다 PDF 파일로 전환해서 그거를 다 올리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김권한 위원   
그러니까 지금 말씀해 주신 그 작업이 2000만 원짜리 작업이냐는 거죠.
○사회적공동체팀장 임미영   
(공무원석에서)2000만 원하고 저희가……
김권한 위원   
사업단에서 그 PDF 파일로 전환해서 사진 뭐 한 200장 넣는데……
○사회적공동체팀장 임미영   
(공무원석에서)전산은 그 메뉴를 만들어야 되고요, 그리고 지금……
김권한 위원   
홈페이지 전면 개편이 아니라 폴더 하나 더 넣는다는 거잖아요?
○사회적공동체팀장 임미영   
(공무원석에서)아니요, 그 정도가 아니라 저희가 지도를 만들 거라서 지도에서 클릭을 하게 되면 거기 마을에 있는 자료를 만들고 이런 전산 그런 아카이빙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저희가 할 수 있는 PDF 파일 게시하는 정도면 저희가 할 수 있는데 그 이상이라서 지금 용역비가 필요합니다.
김권한 위원   
그러니까 신활력플러스 사업단이 지금 추진한 사업이 몇 군데죠?
○사회적공동체팀장 임미영   
(공무원석에서)이제 그 액션그룹은 저희가 지금 한 80개, 78개 정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김권한 위원   
그러니까 지금 액션그룹 80개에 대한 공주 전체 지도를 띄워놓고 이인면 하나, 탄천면 하나, 이인의 액션그룹을 치면 그 활동사항이 들어간다는 거잖아요.
○사회적공동체팀장 임미영   
(공무원석에서)그것과 저희가 지금까지 한 마을만들기 사업들을 정리를 해서 같이 종합적으로……
김권한 위원   
저는 마을만들기만 이해를 했거든요. 
액션그룹까지 해서 다 지도를 아카이빙 하실 거예요?
○사회적공동체팀장 임미영   
(공무원석에서)예,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 액션그룹들이 무슨 활동을 했는지 저희 신활력사업 4년 동안 발굴한……
김권한 위원   
지도에는 안 들어갈 거잖아요. 액션그룹……
○사회적공동체팀장 임미영   
(공무원석에서)지도에 클릭을 하면 거기……
김권한 위원   
액션그룹도?
○사회적공동체팀장 임미영   
(공무원석에서)예, 거기에 대한 그 액션그룹들 저희가 이제 신활력플러스 사업에서 주민생각 현실화 사업 했던 것들을 넣으려고 하고 있습니다.
김권한 위원   
알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위원장 송영월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지역활력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지역활력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회계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회계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회계과장 오현규   
회계과장 오현규입니다. 
저희 과 소관 ’24년도 제3회 추경 예산 편성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14쪽 세출예산서입니다. 
’24년 제3회 추경 예산 규모는 기정예산 대비 2억 8453만 3000원이 증가된 862억 6228만 원입니다. 
다음 주요 내용 위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14쪽 중간부, 405-01 자산 및 물품취득비로 이는 조직개편 및 부서 재배치에 필요한 행정물품 구입비로 민원토지과 외 6개 부서의 캐비닛 등 구입비로 8000만 원을 계상하였고, 문화재과의 전기화물차 구입 예산 4600만 원을 감하여 3400만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 115쪽 상단부, 201-01 사무관리비로 조직개편에 따른 시청사 민원실 및 임시 사무실 이전 등 용역비로 1000만 원을, 부서 안내 명판 등 제작비로 1000만 원을 합산해서 2000만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바로 아래, 201-02 공공운영비로 올해는 극심했던 폭염에 따라 전기 사용량 증가 및 단가 상승으로 전기요금 부족분 36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그다음 중간부, 401-01 시설비로 이는 청사 시설물 유지보수의 일환에 따라 내년 구내식당 리모델링 공사 설계 용역비 3000만 원과 청사 내 상황실의 냉난방기 노후에 따른 교체 사업비 1000만 원 등 합산해서 4000만 원을 추가 계상하였습니다. 
바로 아래, 401-01 시설비로 민원실 이전과 개편되는 사무실 정비 등 시청사 보수 공사에 6억 4000만 원을 추가 계상하였습니다. 
지금까지 설명드린 바와 같이 저희 회계과 예산은 대부분 조직개편에 따른 집기 구입비와 사무실 구축 시설비 등 필수 요구액으로 편성되어 있음을 거듭 말씀드리면서 감액 없이 심의될 수 있도록 부탁을 드리며 이상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회계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회계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세무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세무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세무과장 김기분   
세무과장 김기분입니다. 
세무과 소관 제3회 추경 예산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예산서 120쪽입니다. 
세무과 예산 규모는 기정예산 대비 3588만 5000원이 감소한 7억 9932만 5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을 말씀드리면, 120쪽 중간 부분에 308-13 지방세외수입 정보시스템 유지관리비로 추가 분담금이 발생해서 298만 7000원을 증액한 4147만 8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아래쪽에 지방세 정보시스템 전환으로 집행하지 못한 사무관리비 3557만 2000원을 삭감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세무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세무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평생교육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평생교육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평생교육과장 안명   
평생교육과장 안명입니다. 
평생교육과 2024년 제3회 추가경정예산 세출 예산 요구서 설명드리겠습니다. 
페이지 123쪽 평생교육과 2024년 제3회 추경 예산 규모는 기정액 197억 1760만 원보다 1억 7000만 원이 감액된 195억 4785만 원 반영하였습니다. 
주요 감액 사업 위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페이지 126쪽 하단, 세부사업 자녀교육비 지원, 통계목 301-14 기타보상금 저소득층 자녀교육비 지원은 도비 보조금 변경 교부에 따라 6330만 원 감액 반영하였습니다. 
페이지 127쪽 상단, 세부사업 대학생 지역 정착활동 지원, 통계목 301-14 기타보상금 대학생 학습지원단 운영은 2024년 겨울ㆍ여름방학 대학생 학습지원단 사업 종료에 따른 집행잔액 5216만 원 전액 감액 반영하였습니다. 
페이지 129쪽 상단, 세부사업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운영 지원, 통계목 307-10 사회복지시설 법정운영비보조,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운영 지원에 따른 부족한 인건비 1000원을 증액 반영하였습니다. 
페이지 129쪽 중간, 공주시 청소년 꿈창작소 운영, 통계목 401-01 시설비, 청소년 꿈창작소 냉난방기 설치 구입비 집행잔액 753만 1000원 전액 감액 반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평생교육과 소관 제3회 추가경정예산 세출 예산 요구서 사업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예, 김권한 위원님.
김권한 위원   
저소득층 자녀 교육비가 많이 삭감됐어요.
○평생교육과장 안명   
예.
김권한 위원   
거의 뭐 일몰이네요? 
6억 5300 짜리가 200 남았으면 이게 지금 뭐 0.3% 살린 거예요? 
1%도 아니고. 그렇죠?
0.3%도 안…… 0.3%만 남은 게 아니고 0.2 몇 남았겠는데요? 
이게 지금 변경 교부 결정이라고 하면……
○평생교육과장 안명   
도비 변경 교부……
김권한 위원   
어떻게 변경 교부가 나온 거예요? 
그냥 감액된 거예요, 아니면 대상자를 축소한 거예요?
○평생교육과장 안명   
그 지원 대상 선정 기준이 변경됨에……
김권한 위원   
어떻게 변경됐습니까? 
지금 중위소득 가구의 50~70%에 해당되는 초ㆍ중ㆍ고 학생들한테 지원되게끔 되어 있잖아요.
○평생교육과장 안명   
예.
김권한 위원   
그렇게 사실은 충청남도에서, 공주시에서 그렇게 공개모집까지 했어요.
지금 뉴스를 보니까 이게 올해 6월 24일날 지원사업 신청 안내문까지 다 내려가서 모집을 했는데, 이게 지금 “도비에서 못 준대요”라고 해서 줄일 수 있는 상황이 아닌 것 같은데요? 
아니, 6억 5000……
0.3%를 남기면 이게 일몰인데 그러면 이게 지금 뭐 죄송한 표현이지만 이게 무슨 공무원 해외여행 가는 것도 아니고 정말 저소득 가구의 아이들 교육비 지원한 건데, 이거 시에서 계속하고 싶었으면 도비가 없더라도 시에서 최소한 반 이상은 구제할 수 있는 방법을 못 찾았을까요? 
어차피 시비가 여기 한 3억 2000 편성되어 있었는데? 그거라도 살렸어야 되는 것 아닌가요? 
기존에 신청했던 명단은 가지고 계신가요?
○평생교육과장 안명   
예.
김권한 위원   
그러면 그 신청했던 명단도 하나도 못 살리고 그냥 신청하고 끝난 거네요? 
이분들한테 언제 통보가 갔습니까? 계속 기다리고 있지는 않겠죠?
○교육정책팀장 윤여진   
(공무원석에서)안녕하십니까? 평생교육과 윤여진입니다. 대신 답변드리겠습니다. 
기존 170명이 신청을 하였는데요, 50% 초과 70% 이하 가구가 대상입니다. 
그런데 대상자가 총 170명 중에서 5명만 대상이 되어서 감액이 되게 된 사항입니다. 
실제 대상자가 중위소득 50% 초과, 70% 이하 가구가 신청할 수 있는 사업비인데요.
대상 되는 가구가 생각보다 적게 나와서 5명밖에 선정이 안 되었습니다.
김권한 위원   
중위소득 50%가 초과되지 않은 분들한테 온 거라는 얘기예요? 
이게 지금 기준 중위소득 50% 초과, 70% 이하면 20%라는 뜻이 아니고 이게 뭐 굉장히 넓은 폭인데요?
○교육정책팀장 윤여진   
(공무원석에서)보통 일반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는요, 이제……
김권한 위원   
따로……
○교육정책팀장 윤여진   
(공무원석에서)기초소득자라고 보시면 되고요. 
보통 중위소득 100%가 평균이라고 보는 데요.
50%에서 70% 이상 가구가 예상보다 이제 많지 않아서 5명만 선정이 되게 된 사항입니다. 
50% 이하 자녀 같은 경우는 저희가 교육 급여로 따로 지급을 하고 있고요. 
이번에 저소득층 자녀 교육비에 대해서는 요건이 50% 초과, 70% 이하였습니다.
김권한 위원   
제가 이해를 잘 못했습니다. 
지금 70% 이하 가구라고 한다면 50% 이하 가구는 포함이 안 되나요?
○교육정책팀장 윤여진   
(공무원석에서)예, 포함이 안 됩니다. 
그 50% 이하 가구는 저희가 교육 급여로 따로 지원해주는 부분이 있습니다.
김권한 위원   
교육 급여는 어떻게 지원이 되고 있죠?
○교육정책팀장 윤여진   
(공무원석에서)교육 급여는 학교에서 따로 대상자를 선정해서 지원을 이미 하고 있습니다.
김권한 위원   
어떻게 지원하고 있습니까? 
여기 보면 학생당 30만 원, 40만 원, 50만 원씩인데 그 교육 급여는 어떻게 지원하고 있죠?
○교육정책팀장 윤여진   
(공무원석에서)그 부분에 대해서는 제가 별도로 따로 보고를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김권한 위원   
저는 어떻게 이해를 했느냐면, 중위소득 50% 초과라는 얘기는 뭐냐면 중위소득 50% 안 되는 사람들은, 안 되는 학생들한테는 따로 교육 급여가 나간다는 얘기잖아요.
예를 들어서 중위소득이라는 게…… 
공주시 중위소득 얼마입니까? 
지금 한 250만 원 정도 되나요, 가구당?
○교육정책팀장 윤여진   
(공무원석에서)예, 그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김권한 위원   
250만 원 정도 되면, 가구당 125만 원 이상인 가구부터 70% 이하라고 하면 뭐 대부분의 가구라는 얘기잖아요.
○교육정책팀장 윤여진   
(공무원석에서)아닙니다. 이제……
김권한 위원   
그러면요?
○교육정책팀장 윤여진   
(공무원석에서)보통 평균을 100%로 잡고 있기 때문에요.
50%에서 70%인 가구는 저소득층에 들어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100% 이하가 저소득층에 들어가고요.
50% 이하는 기초생활수급자 대부분의 가정이 들어가게 되거든요.
김권한 위원   
그런데 그러면 그분들한테는 지금 50% 초과가 이 50% 이하는 기본 교육경비가 나가고 50%, 70% 사이만 한다는 거잖아요. 
70%가 넘으면 굳이 교육비를 지급하지……
중위소득자이지만, 중위소득이 모자라지만 그 지원 대상…… 지원할 필요까지는 없다는 거고. 
그러면 50%면 예를 들어 250만 원, 135만 원에서 70%면 한 200만 원까지인데, 이 가구가 5명밖에 안된다는 게 제가 이해를 못 해서 말씀드리는 거예요. 
나머지 170가구가 중위소득이 초과됐는데도 불구하고 신청하지는 않았을 거 아니에요. 기준……
○교육정책팀장 윤여진   
(공무원석에서)이게 작년이랑 조금 기준이 바뀌었습니다.
김권한 위원   
작년에는 몇 퍼센트였습니까?
○교육정책팀장 윤여진   
(공무원석에서)작년에도 50% 초과, 70% 이하는 맞았는데요. 
그전에는 이제 선정을 할 때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해서 저희가 부모님의 건강보험 서류를 받아서 그 부분에 의해서만 서류를 증빙을 해서 확인을 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도에서 지침이 행복이음시스템을 이용해서 그 조건을 확인하라고 내려와서 담당자가 행복이음으로 전체……
행복이음은 건강보험료는 물론이고 전체 재산내역까지 조회를 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조금 변동이 있습니다.
김권한 위원   
알겠습니다.
○교육정책팀장 윤여진   
(공무원석에서)그래서 조금 변동이 있었습니다.
김권한 위원   
알겠습니다. 
타 시군도 어떻게 됐나 확인을 한번 해보시고요. 
이거는 뭐 사업이 일몰되는 거잖아요. 
3%를 넘겼다는 거는 하지 말자는 건데, 도하고 협의를 하셔가지고 이 부분은 조금 더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좀 한번 적극 행정을 부탁드리겠습니다.
○교육정책팀장 윤여진   
(공무원석에서)예, 알겠습니다.
김권한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송영월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평생교육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평생교육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민원토지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민원토지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민원토지과장 최석화   
민원토지과장 최석화입니다. 
민원토지과 소관 제3회 추경 예산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33쪽 상단, 예산액은 기정액 38억 4200만 원에서 1억 9000만 원이 증가된 40억 3200만 원이 되겠습니다. 
135쪽부터 137쪽 상단까지는 집행잔액을 정리하는 사업으로 설명을 생략하겠습니다. 
137쪽입니다. 
중간 부분, 301-14 지적재조사 조정금으로 1억 7800만 원을 추가 계상하였습니다. 
이는 ’21년부터 ’22년 사업이 완료된 정안면 고성ㆍ운궁지구, 계룡 화헌ㆍ경천지구, 반포 송곡지구에 대한 지급 조정금이 되겠습니다. 
하단에 201-01 종합민원실 이전에 따른 사무관리비 1000만 원과 405-01 지적서고 이동식 서가 설치, 민원창구 책상 구입 등을 위한 자산취득비로 5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 민원토지과 예산안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민원토지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민원토지과장 수고하셨습니다. 
이상으로 시민자치국 소관 부서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다음 문화복지국 순서로, 먼저 문화체육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문화체육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화체육과장 김재철   
문화체육과장 김재철입니다. 
2024년 제3회 추경 예산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41쪽입니다. 
총 예산은 기정예산 573억 2098만 6000원 대비 9780만 원이 감소된 572억 2318만 6000원입니다. 
집행잔액 사업은 설명을 생략하고 전액 삭감사업과 신규사업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145쪽입니다. 
중간 부분에 308-08 교육기관에 대한 보조 영명고 태권도 운영 6500만 원, 이어서 307-02 민간경상보조 무령왕배 전국 테니스대회 3500만 원, 공주컵 전국 유소년 클럽 축구대회 6000만 원은 먼저 영명고 태권도부가 해체가 돼서 삭감되었고 테니스장 증축 및 축구장 개선사업 추진으로 전액 삭감하였습니다. 
하단부에 405-01 자산 및 물품취득비는 조직개편으로 인한 사무실 캐비닛 구입비 300만 원과 회의용 탁자 구입비 100만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문화체육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문화체육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관광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관광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관광과장 소찬섭   
관광과장 소찬섭입니다. 
관광과 소관 2024년도 3회 추경 예산 편성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53쪽이 되겠습니다. 
금년도 기정액 대비 1억 2750만 4000원이 감액된 411억 7622만 4000원입니다. 
다음은 주요 사업 위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감액된 부분은 금년도 예산 사용 잔액으로 설명을 제외하고 증액한 부분만 설명드리겠습니다. 
하단, 문화관광해설사 운영 301-11 행사실비지원금 문화관광해설사 교육 및 역사유적탐방 등으로 200만 원을 증액한 900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다음 쪽 154쪽 상단, 관광지시설 유지관리 201-02 공공운영비 관광지시설 공공요금은 왕릉교 주변 상징가로와 제민천 야간경관 조성사업으로 전기요금을 납부하고자 300만 원을 증액한 1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하단, 백제문화제 지원 201-01 사무관리비 제70회 백제문화제 소품관리 용역은 축제 종료에 따른 소품창고 정리를 위해 장비 임차료로 2200만 원을 증액한 4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155쪽 중간, 행정운영경비 401-01 자산 및 물품취득비 조직개편에 따른 사무실 집기 구입으로 117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관광과 소관 3회 추경안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그러면 본 위원이……
과장님, 그 항공축제 있잖아요.
○관광과장 소찬섭   
예, 있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예산을 편성했다가 반납했는데, 이 항공축제는 어떻게 저기 하실 건지.
○관광과장 소찬섭   
그동안……
○위원장 송영월   
이게……
○관광과장 소찬섭   
공주 경비행기 주관 단체에서 그동안 운영을 했는데, 코로나 이후 계속 금년도도 그렇고 지난해도 그렇고 지지난해도 그렇고 그 경비행기 업체에서 보조금 받고 하는 거를 상당히 어려워하고 도저히 못 하겠다.
왜냐하면 과거에는 이준호 대표라든지 권흥길 사무국장 같은 분들이 열심히 했는데, 또 강경환 씨라고 이제 여러 사람들이 했는데 지금은 그런 여건이 지금 되지가 않습니다. 
도저히 자기들이 할 수가 없다 그래서 저희가 몇 번 설득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못 하겠다고 해서 결국 금년도까지 안 하면, 이게 3년 이상 안 하면 저희가 축제를 일몰하거든요. 
그래서 내년도 본예산에는 편성 자체를 안 했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예, 알겠습니다. 
다음은 질의하실 위원님 안 계시므로 관광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관광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문화유산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문화유산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화유산과장 조병철   
문화유산과장 조병철입니다. 
문화유산과 소관 2024년도 3회 추가경정 세출 예산안에 대하여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59쪽이 되겠습니다. 
저희 부서 예산 규모는 645억 9554만 2000원으로 기정액 대비 약 0.03%인 2054만 원이 증가하였습니다. 
세부내역으로는, 161쪽 중간에 문화유적 관리 시설비 401-01로 안내판 정비 집행잔액 2000만 원 감액과 영규대사묘 문화유산구역 토지 매입비 3억 5000 중 3억 4850만 원을 같은 시설비목에 영규대사묘역 주변 정비사업으로 부기 변경 요청하였습니다. 
162쪽 상단에 근현대 문화유산 관리 민간자본사업보조 사업비로 미래유산과 근대건조물 보수 지원 사업비 2000만 원을 감액하였으며, 162쪽 중간, 도 지정 문화유산 보수정비 사업 401-01 시설비로 김종서 유허지 토지 매입비 6312만 원을 갑사 사적비 주변 정비사업으로 세부사업 부기 변경 추진코자 합니다. 
이는 토지 협의매수 불응에 따른 사업 부기 변경으로 충청남도로부터 지침 변경 승인을 득한 상태입니다. 
163쪽입니다. 
국도비 보조금 반환금으로 2023년도 국도비 보조금 집행잔액과 이자 발생 반납금 7574만 1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문화유산과 소관 예산 설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문화유산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문화유산과장은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복지정책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복지정책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복지정책과장 장병덕   
복지정책과장 장병덕입니다. 
’24년도 추경 3회 일반회계에 대해 보고드리겠습니다. 
본예산 대비 6억 7000만 원이 감액된 443억 원으로 대부분 국도비 변경에 따른 것으로 전액 시비 위주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174쪽 하단, 자산 및 물품취득비로 61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사무실 통합에 따른 신설 부서 인구정책과와 같이 사용할 캐비닛을 구입할 계획입니다. 
이상으로 복지정책과 예산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 안 계시므로 복지정책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복지정책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경로장애인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경로장애인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경로장애인과장 강혜경   
경로장애인과장 강혜경입니다. 
경로장애인과 2024년 제3회 추경 예산안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세출 예산서 183쪽입니다. 
경로장애인과 2024년 제3회 추경 예산안 규모는 1695억 8960만 원으로, 제2회 추경 예산 1728억 8790만 원 대비 1.91%가 감액되었습니다. 
주요 감액 요인은 기초연금과 재가노인 및 노인생활시설 장기요양보험 국도비 보조금 변경에 따른 예산액 조정, 그리고 시비 사업 집행잔액 삭감으로 인한 예산액 감소라는 설명을 드립니다. 
삭감 예산은 생략하고 1000만 원 이상 증액되는 사업 위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85쪽 하단 부분, 307-11 사회복지사업보조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예산을 기정액보다 1억 4374만 원 증가된 167억 5180만 원으로 계상하였습니다. 
이 부분은 국도비 보조금 변경에 의한 예산 증가가 되겠습니다. 
186쪽 상단 부분, 307-11 사회복지사업보조 독거노인 응급안전 안심서비스 운영 지원 예산을 기정액보다 1506만 원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이것은 대상자 증가에 따른 예산 증가입니다. 
187쪽 하단 부분에서 188쪽 상단 부분, 307-11 사회복지사업보조 경로당 냉난방비 및 양곡비 지원 예산을 기정액보다 4604만 1000원 증가된 11억 4644만 원으로 계상하였습니다. 
이 부분은 국도비 보조금 변경에 의한 예산 증가입니다. 
189쪽 중단 부분, 301-01 사회보장적수혜금 장애수당(기초) 지급 예산으로 1978만 6000원, 장애수당(차상위 등) 지급 예산으로 1256만 3000원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이 부분은 대상자 증가에 따른 예산의 부족 부분을 계상한 것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191페이지 하단 부분, 802-01 국고보조금 반환금 3억 4511만 8000원과, 802-02 도비 보조금 반환금 4억 2879만 원을 추가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경로장애인과 3회 추경 예산안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서승열 위원님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서승열 위원   
다른 분 안 계셔가지고 제가 질문하겠습니다. 
그 나래원에…… 나래원 팀장 누구 오셨어?
○경로장애인과장 강혜경   
예.
서승열 위원   
만약에 목요일날 사망하신 분이 토요일날 들어왔을 때 금요일날 가서 사망신고를 하면 토요일날 그게 안 떠요. 
그런 경우 있었죠, 팀장님?
○나래원팀장 김찬영   
(공무원석에서)예, 있었습니다.
서승열 위원   
있었죠? 
그래서 그 사람이 하루 연장해가지고 들어왔죠?
○나래원팀장 김찬영   
(공무원석에서)예, 그렇습니다.
서승열 위원   
그럴 때 그거를 그렇게 하면 그 사람이 비용이 엄청 들어가요, 하루저녁 더 자고 그러면. 
그래서 그게 좀 아쉽더라고. 
그래서 무슨 대책이 있는지. 한번 겪어봤으니까.
○나래원팀장 김찬영   
(공무원석에서)지금 나래원 같은 경우에는 공주시민을 대상으로 해서 화장 우선 예약을 지금 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지금 하루에 공주분들만 우선 예약할 수 있게 저희 총 열두 분 중에……
그러니까 총 12개를 예약을 할 수 있는데 그중에 6개를 공주분들로 예약을 하고 있는데요.
거기에 넘어섰을 때는 어쩔 수 없이 다른 곳으로 가거나 지금 예약이 안 되니까 하루 더 장례를 치러서 하는 실정인데, 지금 그것 정도 우선 예약을 잡아놓은 것도 조금 많이 잡았다고 다른 시군에서 조금 비판을 하고 있는데 어쨌든 저희가 우선 예약을 많이 늘려가지고 지금 예약을 잡고 있는 실정입니다.
서승열 위원   
그래서 그게 공주에 사시는 분이 공주에서 못하고 다른 데로 넘어가는 숫자가 얼마나 돼요?
○나래원팀장 김찬영   
(공무원석에서)갑자기 몰릴 때 경우에는 그때 제외하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고요. 
지금 여섯 분으로 우선 예약 늘려놓은 상태에서는 거의 수용되는 걸로 제가 알고 있습니다.
서승열 위원   
아까 제가 말씀드린 그런 경우에 그런 사람들은 어떡해요?
○나래원팀장 김찬영   
(공무원석에서)올해 기준으로 봤을 때 위원님 말씀하신 그런 케이스는 한 번 정도밖에 경험을 못 했고요. 
저희가 열두 분 중에서 여섯 분을 공주분들을 우선 예약 받기 때문에 거의 다 저희 공주분들은 소화하는 실정으로 지금……
서승열 위원   
그래서 그 시스템이 그거를 확인을 할 수 없다고 화장을 안 해주니까 하루를 넘어가버린 것 아니에요? 그렇죠? 
잘못하면 이틀 넘어갈 수도 있어요. 그렇죠?
○나래원팀장 김찬영   
(공무원석에서)예, 맞습니다.
서승열 위원   
토요일날 왔는데 일요일도 못 하고, 토요일날 못 하고, 일요일날 못 하고, 월요일날이나 돼야 시청에서 확인이 가능한데 그게 안 됐을 때는 어떤 조치를 취해주고 할 수 있……
뭐, 인우보증…… 마을 이장님이라든가 이런 분들한테 인우보증을 서더라도 해서 할 수 있게 해줘야 되는데 그 사람들이 가만히 앉아서 몇 백만 원이 비용으로 발생이 되잖아요. 
그래서 내가 좀 안타깝더라고. 
거기서는 그게 확인이 안 된다고 해서 못했잖아요. 그렇죠?
○나래원팀장 김찬영   
(공무원석에서)예, 그렇습니다.
서승열 위원   
그래서 공주분이라는 걸 알고 다 아는데, 어떤 방법을 쓰더라도 시청에서 그게 인터넷이 안 열렸기 때문에 그런 건데 그 사람들 잘못이 아니잖아요. 그렇죠? 
잘못인가요, 그 사람들이?
○나래원팀장 김찬영   
(공무원석에서)우선은 서류 자체를 이제 증빙서류를 안 갖고 오셔가지고……
서승열 위원   
증빙서류를 안 갖고 온 게 아니고 그 사람이 원래 예약을 했었죠, 토요일날? 
예약을 해서 받아준 거 아니에요? 
그래서 그 사람들이 거기에 도착을 했고, 그런데 컴퓨터 등록 과정에서 시청에 있는 거하고 이쪽 거하고 안 맞으니까 그래서 못한 거 아니에요?
○나래원팀장 김찬영   
(공무원석에서)우선 예약은 된 상태고요. 
예약할 때 저희가 증빙서류를 받지 않기 때문에 오셔서 증빙서류를 제출해야 되는  상황이고요. 
그때 그분 같은 경우는 서류 자체를 안 갖고 오신 분이라 저희가 확인이……
서승열 위원   
토요일날은 서류가 발생이 안 되니까 못 갖고 온 거 아니에요? 
그리고 인터넷 열어봐도 거기에 뜨지 않으니까. 
그래서 그거를 못 한 거면 시청 잘못이지, 그 사람 잘못은 아니잖아. 
서류를 못 갖고 왔다는 게 아니고. 
그게 발생일…… 거기 원래 인터넷이 시청 것하고 나래원 것하고 통했어야 되는데 시청에는 등록이 되고 나래원에는 등록이 안된 거 아니에요?
○나래원팀장 김찬영   
(공무원석에서)그분이 내야 될 서류가 사망증명서 관련 서류인데요. 
그거는 병원에서 발급을 해서 갖고 오시는데, 그때 그분은 그 사망증명서 자체를 안 갖고 오셔가지고 그날 그때 화장 못 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서승열 위원   
그렇지가 않은데? 
시청에서 그게 사망신고를 했는데 사망신고가 거기 나래원에는 안 떴기 때문에 그런 건데? 
그렇지 않아요? 이유가 그거였었는데.
○나래원팀장 김찬영   
(공무원석에서)아니……
서승열 위원   
그래서 그 사람이 그 다음 날 했어요?
○나래원팀장 김찬영   
(공무원석에서)예, 그 나머지 서류 갖고 오셔가지고 저희가 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서승열 위원   
그럼 월요일날 갖고 왔다는 거예요? 
월요일날 갖고 온 게 아니고 그 사람 일요일날 했잖아요. 그렇죠?
○나래원팀장 김찬영   
(공무원석에서)그 사망진단서 같은 경우 병원에서 발급을 하기 때문에 그거는 저희 시청하고는 관련이 없고요. 
그분이 그때 당시에 왔을 때는 증명서 자체를 안 갖고 오셨기 때문에 신원 확인이 안 돼서 화장을 못 했던 거고요. 
그다음 날 갖고 오셔가지고 화장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서승열 위원   
그다음 날 일요일날 했다는 거예요, 그럼?
○나래원팀장 김찬영   
(공무원석에서)예, 그렇습니다.
서승열 위원   
그럼 토요일날도 발급 가능하잖아요, 서류는.
○나래원팀장 김찬영   
(공무원석에서)그러니까 아침 시간에 접수를 받을 때 화장 증명서를 같이 갖고 오셔갖고 접수를 해야 그분 신원 확인을 하고 그다음에 그 이후에 화장 절차를 진행할 수가 있는데, 그때 당시에는 예약된 상황으로만 오셨고 증빙서류를 하나도 안 갖고 오셔가지고 확인이 안돼서 화장을 못 했습니다.
서승열 위원   
아, 이인장례식장에서 그 서류를 안 갖고 왔다는 거예요?
○나래원팀장 김찬영   
(공무원석에서)예, 맞습니다.
서승열 위원   
그 사람들도 이상하네. 그렇죠?
○나래원팀장 김찬영   
(공무원석에서)이인장례식장이 그렇게 그전에도 한 번 그런 경우가 있었고요.
전에는 오후에 갖고 오셔가지고 화장을 했었는데요. 
그날 같은 경우에는 화장 서류를 안 갖고 오셔가지고 증명서 자체는 원래 기본적으로 갖고 와야 되는 서류인데 그거를 안 갖고 오셔가지고 화장을 못 했습니다.
서승열 위원   
그러니까 사망진단서를 안 갖고 왔다는 거예요, 아니면 사망신고서……
○나래원팀장 김찬영   
(공무원석에서)사망진단서입니다.
서승열 위원   
병원에서 그거를 발행 안 했다는 거예요?
○나래원팀장 김찬영   
(공무원석에서)원래 병원에서 발행을 하는데 거기서 그거를 안 갖고 오신 겁니다.
서승열 위원   
이해가 안 가요. 
그때 당시 제가 알기로는 그렇게 안되어 있었는데? 사망진단서를 가지고 왔다고 했는데? 병원에서.
사망진단서는 병원에서 나올 때 무조건 떼주는 서류 아닙니까?
○나래원팀장 김찬영   
(공무원석에서)예, 맞습니다. 
그런데 그 서류조차도 안 갖고 오셔가지고 그때 화장이……
서승열 위원   
내가 거기를 갔었어요, 그래서. 
그 민원인들이 하도 요청을 해서 갔었는데, 거기 나래원에 계신 분이 컴퓨터가 안 열려서 못 한다고 그랬어요. 
사망진단서하고 사망신고서는 갖고 왔는데 그거를 증명하는 게 안 떠서.
시청 것에는 등록이 됐는데 시청에서 열리지 않기 때문에 이쪽에서는 열으려고 노력을 해도 그게 안 열렸기 때문에 못 해준 걸로 알고 있는데? 그게 틀려요? 
내가 가서 그 자리에서 있었어요, 거기에. 
돌아가셔서 하도 오라고 해서……
○나래원팀장 김찬영   
(공무원석에서)위원님 전화 와가지고 저도 알아봤을 때는 그런 내용으로 제가……
서승열 위원   
사망진단서는 갖고 왔는데 그 사람이 목요일날 돌아가셨는데 금요일날 가서 유족이 신고를 했대요, 사망신고. 
사망신고를 했는데 그것이 장례식장하고 시청에 있는 인지해주는 데하고 연결이 안되기 때문에 못 했다고 그러는 것 같던데? 등록이 안 되니까. 
그거로 알고 있는데……
○나래원팀장 김찬영   
(공무원석에서)저희 화장 시스템 자체는 기본적으로 다른 행정시스템하고 연계되어 있진 않고요
원래 기본적으로 e하늘 장사시스템으로 예약을 하기 때문에 다른 나머지 사항들은 보통 서류를 갖고 오셔가지고 확인을 해야 접수가 가능합니다.
서승열 위원   
하여튼 고생 많으신데, 그거를 꼼꼼히 하셔가지고 공주분들이 다른 데서 할 수 있는 경우가 1건이라도 안 생겼으면 하는 게 바람이에요. 
그래야지, 공주시에 나래원 한번 세우느라고 얼마나 고통이 심했고 비용도 많이  들어갔는데. 
부여나 논산 것 받으면서 공주분은 안 해준다는 건 말도 안되는 소리예요. 
부여나 논산 같은 경우에 안 받더라도 우리가 손해보는 거 별로 없어요. 그렇죠? 
지금 예약을 못 해서 못 하는 거지, 부여나 논산 받으면서까지 우리 공주시민들이 혜택을 못 본다면 의미가 없어진다는 거죠. 
그거를 잘 참고하셔서 공주분들이……
여하튼 어떻게 해서라도 해줘야 된다는 거죠. 
그래야지…… 그 사람들이, 유족들이 한 두 분이 아니잖아요.
많은 데는 막 100명씩 되고, 최소한 20명 정도가 발 동동 구르고 있고 다른 데로 가야 된다고 하고 비용도 비싸고 그런 경우가 생기면 안 된다는 거죠. 
이게 민원이 나래원이나 과장님한테 가야 되는데 엉뚱하게 우리 의원님들한테 와요, 그런 경우가 생기면. 
그래서 토요일날, 일요일날 집에서 다른 일 하려고 하고 교회도 가야 되고 절에도 가야 되는데 못 가고 거기 쫓아가서 있어야 된다는 거죠. 
그래서 여하튼 공주시민일 때는 그런 증명이 안되면 인우보증 자료를 받대요, 뭘.
그렇죠? 인우보증.
이장님, 통장님, 면장님 중에서 증명을 해주고 보증을 서주면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세요. 
그래서라도 해줘야지, 다음날까지 그 사람들 다 원망하고 그러잖아요. 이 사람, 저 사람 전화 오고. 
하여튼 너무 고생이 많은데, 그래도 시민들이 요구하는 거는 자기들 것 안 해주면 불만이 생기는 겁니다. 
거기에서 매일 너무 고생하는 것 잘 알아요.
○경로장애인과장 강혜경   
예, 알겠습니다.
서승열 위원   
예, 감사합니다.
○위원장 송영월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경로장애인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경로장애인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여성가족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여성가족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여성가족과장 지형인   
여성가족과장 지형인입니다. 
여성가족과 제3회 추경 예산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예산서 195쪽입니다. 
여성가족과 예산 규모는 기정액 469억 5900만 원 대비 2.13% 감소한 459억 5800만 원입니다. 
이번 추경 예산의 대부분은 국도비 보조사업 조정에 따른 이전재원 변경분을 반영했다는 말씀을 드리며, 사업별 예산 설명은 큰 폭으로 증감된 사업을 중심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201쪽 하단, 307-11 사회복지사업보조 국공립ㆍ법인어린이집 지원입니다.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 교직원의 인건비를 지원하기 위한 이전재원 사업비로, 금년도 호봉 인상분을 반영하여 3억 9453만 7000원을 증액한 45억 9676만 4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202쪽 하단, 307-11 사회복지사업보조 대체교사 및 보조교사 지원은 어린이집 대체 보조(연장)교사에 대한 인건비 등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비로, 1억 9168만 1000원을 감액한 13억 4875만 5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203쪽 하단, 301-01 사회보장적수혜금 영유아 보육료 지원은 영유아의 보육 비용을 지원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안전하고 양질의 보육 서비스를 지원하고자 하는 사업비로, 2억 5884만 2000원을 감액한 48억 8167만 5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205쪽 상단, 301-01 사회보장적수혜금 부모급여 지원은 출산ㆍ육아로 인해 발생한 소득 감소를 지원하여 육아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고자 만 2세 미만 아동의 부모에게 지원하는 수당으로, 2억 3548만 6000원을 감액한 55억 885만 7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206쪽 중간, 301-03 사회보장적수혜금 민간어린이집 차액보육료 지원은 민간 가정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유아에게 지원하는 차액보육료로, 7474만 원을 증액한 7억 7672만 1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바로 아래, 307-11 사회복지사업보조 어린이집 보육도우미 지원은 보육업무 외 보육교사가 담당하는 업무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어린이집별 1명을 지원하는 인건비로, 2억 3313만 2000원을 감액한 4억 9513만 6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207쪽 하단, 307-11 사회복지사업보조 지원시설 유아반 교사 인건비는 정부 지원 어린이집 유아반 담임교사 야간 연장 장애누리반 교사의 인건비를 추가 지원하는 도 이전재원 사업비로, 6554만 3000원을 증액한 9억 874만 3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211쪽 하단에서 212쪽 상단, 301-01 사회보장적수혜금 아동수당 급여 지급은 영유아 가정의 경제적 지원으로 건강한 성장환경을 조성하여 아이의 기본적 권리와 복지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만 7세 미만 아동에게 매월 10만 원씩 지급하는 사업비로, 3억 4235만 5000원을 감액한 36억 2393만 4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여성가족과 대부분 사업 완료 후 잔액분 및 국도비 변경내시에 따른 예산 재편성 사업으로 일부 사업 설명을 생략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예산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여성가족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여성가족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환경보호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환경보호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경보호과장 이호원   
환경보호과장 이호원입니다. 
환경보호과 소관 2024년 3회 추경 예산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총 예산액은 기정액 대비 12억 6188만 9000원이 증액된 157억 8983만 8000원입니다. 
주요 증액 요인은 대부분 국도비 보조금 반환금 계상에 따라 증액되었다는 말씀을 드리며, 주요 사업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224쪽 중단, 401-01 시설비로 하천법 제33조에 의거 유구천 생태놀이터 하천점용 사용허가 추진 용역으로 44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고, 224쪽 하단, 301-14 기타보상금으로 2024년 충남형 탄소포인트제 ‘탄소업슈’ 가입 및 탄소중립 생활 실천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으로 3061만 2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225쪽 상단, 201-02 공공운영비 공중화장실 상하수도 사용료 492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환경보호과 2024년 3회 추경 예산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환경보호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환경보호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자원순환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자원순환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원순환과장 소세은   
자원순환과장 소세은입니다. 
237쪽 자원순환과 소관 2024년도 제3회 추경 예산안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자원순환과 제3회 추경 예산 규모는 19억 8400만 원으로, 제2회 추경 예산안 17억 4900만 원보다 2억 3500만 원이 증액되었습니다. 
세부사업별로 보고드리면 237쪽 상단, 청소장비 및 시설유지비 201-01 사무관리비 환경미화원 겨울 방한장비는 2013년도 동절기에 마지막으로 지급 후 지급한 적이 없어 청소 업무 추진을 위해 방한장비 구입비 2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청소장비 및 시설유지비 401-01 시설비 친환경 청소차 전기차 충전소 설치비가 당초 예산인 감리비 미반영이 되어 감리비 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행정운영비 기본경비 405-01 자산 및 물품취득비, 조직개편으로 사무실 공간이 축소 및 이동됨에 따라 쾌적한 사무공간을 조성하기 위하여 사무실 집기류 구입비 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 자원순환과 2024년도 제3회 추경 예산안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서승열 위원님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서승열 위원   
자원순환과장님 그리고 임직원 여러분  고생 많으십니다. 
이 방한복을 어떤 거 사준다는 거예요? 
작업복 이 17만 원짜리가 그 어떤 용도…… 어떻게 생긴 거 사주는 거예요? 
오리털을 사주는 거예요, 뭐예요? 
담당 하시는…… 누가 하시는……
○청소행정팀장 한봉구   
(공무원석에서)청소행정팀장 한봉구입니다.
서승열 위원   
이리 오셔서 하셔, 이리 오셔서.
○청소행정팀장 한봉구   
(공무원석에서)방한복이라 하면 일단은 패딩 같은 그런 두꺼운 외투용이 있고요. 
거기에 안전조끼는 이제 별도로……
서승열 위원   
구입하고?
○청소행정팀장 한봉구   
(공무원석에서)예.
해야 되겠고, 장갑하고 신발이 있습니다. 
신발도 일반 신발 외에는 금방 겨울에는 발이 시렵기 때문에 그렇게 해서 세트로 이제……
서승열 위원   
안전화 이거 6만 4000원 짜리 갖고 되나? 조금 좋은 거 사줘야 되지 않아요?
○청소행정팀장 한봉구   
(공무원석에서)더 좋은 거는……
서승열 위원   
이거 그 6만 4000원 짜리는 그 노란 거 거기서 파는 거 그거 발 시렵잖아요.
○청소행정팀장 한봉구   
(공무원석에서)그래도 요즘은 뭐 기능성이 있는 장비들이 있어서 계속 또……
서승열 위원   
방한이 될 수 있는 게 나와요?
○청소행정팀장 한봉구   
(공무원석에서)예, 그런 걸로 해서 미리 좀 이제 저희……
서승열 위원   
활동하는 데 불편하지 않더라도 날렵하게 조금 더……
이게 후진 거 사주면 금방 떨어지고 발만 시렵고 사줬다 소리만 되는 거 아니야, 이거?
○청소행정팀장 한봉구   
(공무원석에서)후진 거는 또 안 신기 때문에요.
서승열 위원   
그러니까 6만 4000원 짜리는 이게 후진 거예요.
○자원순환과장 소세은   
한 6개월 이상은 쓰더라고요. 일단……
서승열 위원   
내년에도 쓰고 할 수 있게 해서 고급형으로 사줘야지. 
이 방한복도 어디 것 사주는지 모르겠지만 활동하기 편리하고 날렵한 걸로……
○청소행정팀장 한봉구   
(공무원석에서)일단 산출초는 기본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했고요, 위원님. 
이제 내부적으로 조절을 해서……
서승열 위원   
어차피 17만 원 주면 17만 원짜리 사줄 거 아니야?
○청소행정팀장 한봉구   
(공무원석에서)아닙니다. 
그렇게 되면 말씀드렸듯이 지금 현재 산출기초는 기본적인 자료고요. 
뭐 말씀드렸듯이 작업화가 좀 더 좋은 거를 편하다고 하면 이제 두꺼운……
서승열 위원   
거기서 줄여서 이렇게 한다고?
○청소행정팀장 한봉구   
(공무원석에서)조끼는 기능성으로 해서 단가를 낮추고 이렇게……
서승열 위원   
요새 조끼도 따뜻한 거 충전식으로 된 거 그거 나와요. 
그런 걸 사주면, 좀 비싸더라도 그런 걸 사줘서 따뜻하게 새벽에 돌아다니지. 
새벽에는 돌아다니시는 분 없죠, 요즘은?
○청소행정팀장 한봉구   
(공무원석에서)새벽은 지금 유연근무제로 해서 6시 10분부터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근무조들이 몇 개 조 있습니다.
서승열 위원   
몇 명이 새벽에 근무해요?
○청소행정팀장 한봉구   
(공무원석에서)새벽엔 한 24명 정도 됩니다.
서승열 위원   
그분들 이게 따뜻하게…… 그냥 조끼는 추워요.
○청소행정팀장 한봉구   
(공무원석에서)예.
서승열 위원   
아무리 뭐 오리털이 2배로 들었다고 해도 추우니까 충전식으로 돼서 등 따뜻하게 해주는 게 있어요, 조끼도. 
그거 잘 찾아봐서 새벽 근무조들 그런 걸 사주든지 해야지.
이거 겨울에 다른 사람들이야 편하게 집에서 아파트에 계시고 주택에 계시면 따뜻한데 새벽부터 나와서 추운 데 돌아다니시는 분인데 특별히 생각하셔가지고 또 디테일하게 해서 이거를 사주시기 바라요.
○청소행정팀장 한봉구   
(공무원석에서)예, 알겠습니다.
서승열 위원   
모자라면 또 추경에 세우고.
○청소행정팀장 한봉구   
(공무원석에서)예, 그렇게 하겠습니다.
서승열 위원   
그렇게라도 해야지.
○자원순환과장 소세은   
예, 알겠습니다.
서승열 위원   
그 양반들 보면 너무 안타까워요. 
손도 시렵겠지만 발도 시렵고.
조금 돌아다니면 풀리실지 모르겠지만 처음에 나올 때 그 조끼 같은 거 충전식도 있대요, 따뜻한 거. 
등 따수워가지고 집에서부터 충전해서 나오면 따뜻하니까.
그리고 사줄 때 조금 좋은 걸로 사주셔, 이거.
○청소행정팀장 한봉구   
(공무원석에서)예, 좋은 걸로 하고……
서승열 위원   
한번 입고 내버리는 거 이런 거 사주지 말고.
○청소행정팀장 한봉구   
(공무원석에서)부족한 부분은 다시 부탁드리겠습니다.
서승열 위원   
질이 나쁜 거는 처음부터 입기가 싫어요, 그렇죠?
○청소행정팀장 한봉구   
(공무원석에서)예.
서승열 위원   
사줬다고 입으라고 하니까 입겠지만 사람들 눈높이에 맞는 걸 사주고 공주시만이라도 이렇게 어려운 행정에서 일하시는 분들은 좀 더 잘 해줘야 된다는 거죠. 그렇죠?
○청소행정팀장 한봉구   
(공무원석에서)예.
서승열 위원   
그래야만이 그분들도 보람을 갖고 공주시에서 특별하게 우리들도 어려운 일 한다고 보살핀다는 걸 우리 팀장님께서 특별하게 보살펴 주셔야 돼요. 그렇죠?
○청소행정팀장 한봉구   
(공무원석에서)예, 알겠습니다.
서승열 위원   
17만 원짜리, 27만 원짜리 그걸로 사주시라고.
○청소행정팀장 한봉구   
(공무원석에서)예, 알겠습니다.
서승열 위원   
그러셔야지 일하시는 데 불편하지 않고 시민들의 민원이 덜 생긴다니까요? 빨리빨리 잘하고 해주시면.
웅크리고 있으면 못하니까 잘 돌아다닐 수 있게…… 여하튼 그런 우려 때문에 했어요.
○청소행정팀장 한봉구   
(공무원석에서)예, 알겠습니다.
서승열 위원   
이거 6만 4000원짜리 사줘도 발 시려우면은 사주나 마나가 됩니다. 
조금 더 질적으로 우수한 거, 편리한 걸로 사주시고, 상품의 질이 신뢰할 수 있는 상품 이거를 사주셔야 된다는 거죠.
○청소행정팀장 한봉구   
(공무원석에서)예, 알겠습니다.
서승열 위원   
우려스러워서 말씀드렸습니다. 이상입니다.
○위원장 송영월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 안 계시므로 자원순환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자원순환과장 수고하셨습니다. 
이상으로 문화복지국 소관 부서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경제도시국 순서로, 먼저 경제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경제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경제과장 최병조   
경제과장 최병조입니다. 
2024년도 경제과 소관 제3회 추경 예산안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페이지는 244쪽입니다. 
2024년 기예산액 532억 9130만 3000원보다 0.95% 감액된 527억 8442만 4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신규사업과 본예산 대비 증액된 사업, 국도비 보조사업에 따른 시비를 부담해야 하는 사업을 중심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중간 부분입니다. 
전통시장 활성화 지원 401-01 시설비 유구시장 아케이드 설치사업은 올 5월에 전통시장법 개정으로 시장 내 시설 자재는 난연ㆍ불연ㆍ준불연 재료를 사용 의무화되면서 당초 폴리카보네이트 자재로 계획되었던 것을 준불연재인 막구조물로 재검토하여 설계를 진행함에 따라 막구조물 구조안전 심의를 위한 용역비 2000만 원이 증액된 5억 7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하단 전통시장 시설현대화 401-01 시설비 산성시장1길 아케이드 교체사업도 준불연재인 막구조물로 재검토하여 설계를 진행함에 따라 최종 설계 결과 자재 추가 비용 3억 원이 발생하여 3억이 증액된 14억 5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245쪽 상단입니다.
전통시장 경영현대화 307-02 민간경상사업보조 전통시장(산성시장) 상가 화재공제 보험료를 추가 27개 점포에 지원하는 사업으로 도비 140만 2000원, 시비 140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280만 2000원이 증액된 912만 9000원을 계상하였으며, 전통시장(유구시장) 상가 화재공제 보험료를 추가 3개 점포에 지원하는 사업으로 도비 14만 원, 시비 14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28만 원이 증액된 190만 8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소상공인 카드가맹점 카드수수료 지원 301-14 기타보상금 소상공인 카드가맹점 카드수수료 지원사업으로 올해 지원대상을 확대하고자 매출액 3억 원 이하를 5억 원 이하로 확대 적용하였으나 예상보다 대상자가 많이 늘지 않아 집행액 4억 원을 감액하여 6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 246쪽 상단 지방산업단지 공업용수도 건설 401-01 시설비 동현 일반산업단지 공업용수 공급사업은 본 산단의 추진이 지연되어 기반시설 지원사업도 지연되는 실정으로 도비 5억 원을 우리 사업은 반납하고, 동현 산단 정상 추진 시 재교부해 주기로 협의하였습니다.
다음은 중간 자동차부품제조업 상생협약 확산지원 308-07 자치단체간부담금은 2024년 자동차부품제조업 상생협력확산 지원 고용노동부 공모사업에 충청남도 외 4개 시군이 컨소시엄으로 공모에 선정되어 공주시 사업비 6100만 원에 대해서 우리 시 부담금 857만 1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 247페이지 중간 행정운영경비 기본경비 405-01 자산 및 물품취득비는 2025년도 조직개편에 따라 신설되는 경제문화국장실과 투자유치실의 원활한 근무환경 조성을 위해 사무용 가구 및 비품을 구입하고자 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경제과 소관 2024년도 제3회 추경예산안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강현철 위원님.
강현철 위원   
아까침 과장님께서 유구시장 아케이드 설치공사하고 산성시장 아케이드 교체사항을 말씀하셨는데, 이게 원래 추경…… 전액 도비를 못 받아서 5억을 자체 시비로 해서 추경 때 5000만 원을 증액을 해서 이제 5500만 원으로…… 아니, 5억 5000만 원으로 이제 했는데, 이게 그때 당시에는 폴리카보네이트라고 해서 가능할 줄로 알고 있었는데 이게 안 되나요, 자재가?
○경제과장 최병조   
예, 그 폴리카보네이트는 준불연재도 아니고 나연재도 아니라.
그 법이 4월에 바뀌고 5월부터 시행돼서 그걸 설계를 다 변경하고, 그러다 보니까 사업도 지연되고 그런 상황이 됐습니다.
강현철 위원   
아까침 2000만 원을 용역비라고 했는데……
○경제과장 최병조   
그게 막구조물로 하다 보니까 구조안전진단을 허가과에서 그걸 해야 된다고 해서 그것을 진단을 하기 위한 용역비를 2000만 원을 세운 겁니다.
강현철 위원   
그 산성시장 같은 경우는 3억이 증액시켰더라고요.
○경제과장 최병조   
예, 그때…… 설계할 때 그걸 담았습니다.
그런데 그 유구 것을 못 담아서 2000만 원을 이번에 담아서……
강현철 위원   
그러면 이것 공사는, 설계 그런 것은 다 지금 돼 있고?
○경제과장 최병조   
예.
강현철 위원   
그러면 내년도 초에는 공사가 가능하겠네요?
○경제과장 최병조   
예.
강현철 위원   
아니, 지금 지역 주민들이 경제과장으로 오시기 전에 과장님이 5000만 원 더 추경 때 증액해서 거기에 비 오고 또 눈이 오면 노인네들이 화장실 가려고 해서 미끄러지시는 분들도 꽤 있었고, 여러 가지 불편사항이 있어서 저하고 구 위원도 있지만 보기만 하면 “언제 하느냐? 언제 하느냐?” 지금 그런 실정에 있거든요.
○경제과장 최병조   
예, 저도 계속 추진했는데 그것 막구조물로 바뀌는 바람에 설계를 재설계하고 막 이러다 보니까 어쩔 수 없이 그렇게 진행됐습니다.
강현철 위원   
하여튼 더 추가되는 뭐 예산 증액은 없나요?
○경제과장 최병조   
예, 이게 설계는 다 끝났고 이제 내년에 바로 설계……
강현철 위원   
그러면 5억 5000만 원으로 가능하다는 말씀이지요?
○경제과장 최병조   
예, 그렇습니다.
강현철 위원   
하여튼 저희 두 의원들이 지나다니기가 아주 어렵습니다.
○경제과장 최병조   
예, 차질 없이 진행하겠습니다.
바로 진행되도록 하겠습니다.
강현철 위원   
예, 알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예, 이용성 위원님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용성 위원   
과장님, 수고 많으십니다. 
그 산성시장 아케이드 교체 관련해서 이게 꼭 교체를 해야 되는 건가요, 아니면 보수로 해서는 해결이 안 되나요?
○경제과장 최병조   
예, 그것 하도…… 이제 20년이 지난 사항입니다. 
그래서 20년이 지난 그 폴리카보네이트라, 물론 화재에도 위험하지마는 이제 빗물도 많이 새고. 
그래서 이제 교체하려고 이렇게 진행했던 사업입니다.
이용성 위원   
그러면 제가 일전에도 말씀드렸었는데 이게 설치가 안 된 구간에 대해서는 어떻게 하실 계획이신지 좀 궁금해서.
○경제과장 최병조   
지금 산성시장5길 쪽에, 그쪽을 저희도 이제 검토하고 있는데 그것 반대하시는 분이…… 이게 도 공모사업으로 가면 자부담이 꼭 들어가요.
자부담이 5% 이상인데 그런 부분에 대해서 동의를 다 얻어야 되기 때문에.
그 동의가 다 이루어지지 않으면 진행하기가 지금 어렵습니다.
이용성 위원   
제가 현장 가서 여쭤보니까 이것 반대하는 분이 한 분하고 두 분 뭐 이렇게밖에 안 된다고 하시던데, 이런 것은 우리 집행부에서 얼마든지 설득이 가능한 부분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어서 좀 적극적으로……
○경제과장 최병조   
예, 내년에 한번 설득해서 그렇게 한번 추진해 보겠습니다.
이용성 위원   
예, 자부담을 좀 줄여주신다든지. 
지금 아시다시피 2개 동으로 나눴을 때 1개 동은 아케이드가 설치돼 있지만 반대 동은 아예 설치가 안 돼 있고.
기존에 설치돼 있는 구간에도 북중 공원 앞쪽으로 해서는 또 설치가 안 돼 있거든요.
그러니까 이렇게 설치 안 된 부분…… 안 돼 있는 분들이 “아니, 여기는 있는 것도 갖다가 새 걸로 바꿔주면서 여기는 왜 안 해주느냐?” 이런 민원이 상당히 많을 거라고 생각을 하고, 실제로도 제가 그런 민원을 많이 받았거든요.
그래서 뭐 교체하고, 폴리카보네이트가 안 돼서 막구조물로 바꾼다…… 뭐 다 좋은데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안 돼 있는 부분을 반드시 좀 신경을 써주셔서 이 부분들도 꼭 설치가 될 수 있게끔 부탁 좀 드리겠습니다.
○경제과장 최병조   
설득을 좀 진행을 하고, 이렇게 해서 최대한도로 한번 진행해 보겠습니다.
이용성 위원   
예, 잘 알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예, 다음은 임규연 위원님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임규연 위원   
과장님, 소상공인 카드가맹점 수수료 지원에 대해서 여쭤볼게요.
○경제과장 최병조   
예.
임규연 위원   
여기는 5억 미만 그 소상공인들한테…… 공주에는 총 점포가 몇 개나 있어요?
○경제과장 최병조   
점포가 저희가 6000개 있지요.
6565개 있고, 시스템상 등록돼 있는 게 6565개고요.
임규연 위원   
그러니까 6000개 이상이 됐다라는 거죠?
○경제과장 최병조   
예.
임규연 위원   
그런데 받은 사람들은 2036명이네요?
그러면 약 3분의 1이 지금 받은 거죠?
○경제과장 최병조   
예.
임규연 위원   
그러면 나머지들은 5억 이상 자들, 매출이 된다라는 거예요?
○경제과장 최병조   
예, 5억 이상인 분도 있고. 
그리고 해당 안 되는 분야가 있어요.
그 유흥업소라든지 뭐 그런 부분은 빠지고.
임규연 위원   
아, 그러면 유흥업소는 또 얼마나 되는데요?
○경제과장 최병조   
아니, 그런 부분하고. 
이제 빠지는 부분이 또 한 사람이 여러 개 점포 갖고 있을 때, 그런 부분 빠지고.
그러다 보니까 최대 저희가 그 카드수수료를 지원해 주려고 1차ㆍ2차ㆍ3차까지 이렇게 받았는데도 그것 50%가 안 넘더라고요.
그러니까 그렇게 이제 제외되는 부분하고 이렇게 중복되는 부분 이런 것들이 많이 있다는 겁니다.
임규연 위원   
그러면 홍보는 충분히 다 됐는데 자격이 안 되거나 이래서 못 받았다라는 거죠?
○경제과장 최병조   
예, 그렇지요.
저희가 작년ㆍ재작년에는 1ㆍ2차까지밖에 안 했는데 저희는 이번에 올해 3차까지도 계속 받았어요.
그런데 3차에 26개까지…… 혹시 못 한 분이 있을까 싶어서 읍면동에도 계속 홍보하고 이렇게 해서, 최선을 다해서 그렇게 홍보돼가지고 아마 누락된 분은 없다고 봅니다, 올해는.
임규연 위원   
그러면 최저가 얼마 주나요?
○경제과장 최병조   
최저가…… 그것 3주에 50만 원 이하니까요.
임규연 위원   
그러니까 다 차별……
○경제과장 최병조   
예, 다 차별화되니까요.
임규연 위원   
이게 차등으로 다 나눠질 텐데, 그러면 최고 적게 가져가는 점포는 얼마 정도?
○경제과장 최병조   
글쎄요, 뭐 10만 원 그 정도…… 그것 정확히는, 최저는 금액이 얼마까지인지 모르겠는데요.
임규연 위원   
최고는 50만 원이라고 있는데, 그러면 최저는 얼마 나가는지를 모르세요?
○경제과장 최병조   
예, 최저 금액은……
임규연 위원   
아니, 이렇게 돈이 만약…… 4억 정도가 지금 반납이 되는 거잖아요.
그러면 최저를 조금 높이는 것은 안 되나요? 
그러니까 ‘이상’이 10만 원이면 한 12~13만 원까지 높여서 주면 안 되느냐. 
어차피 이렇게 돈을, 예산을 세웠는데 뭐 반납을 하느니…… 어차피 이분들을 위해서 세워진 거잖아요.
그러니까 지원을 하려면 좀 더, 그러니까 최대 50이라고 하더라도 최저는 좀 더 높은 금액으로 이렇게 주어졌으면 하는……
○경제과장 최병조   
예, 그것 내년에 검토해 보겠습니다. 
올해 사업은 이미 이제 끝났고, 내년에는 한번 검토를 해보겠습니다.
임규연 위원   
예, 잘해 주시기 바랍니다.
○경제과장 최병조   
예,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위원장 송영월   
예, 김권한 위원님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김권한 위원   
그 아케이드가 지금 이제 막구조물로 바꾼다는 거잖아요.
○경제과장 최병조   
예.
김권한 위원   
막구조물 외에 다른 대안은 없습니까? 
막구조물에 대해서 그 상인들은 찬성하시나요?
○경제과장 최병조   
예, 찬성하고. 
단가가 조금 다른 것도 몇 가지 있는 걸로 들었는데 너무 비싸서.
김권한 위원   
막구조물이 지금 아케이드처럼…… 그 폴리카보네이트처럼 투명인가요? 막구조물은 제가 알기로는 투명이 아닌 걸로 알아서.
○경제과장 최병조   
폴리카보네이트도 완전 투명은 아니고요.
김권한 위원   
그렇죠, 완전 투명은 아닌데 그래도 햇빛이 어느 정도는 투과가 돼서 오늘 날 좋다, 흐리다라는 것을 알 수가 있는데 지금 막구조물 같은 경우는 그게 어렵잖아요?
○경제과장 최병조   
그 정도는…… 잘 모르겠는데요. 
그 정도도, 막구조물도 어느 정도는 통과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김권한 위원   
깜깜하고 환한 것까지 구별…… 그 정도밖에 안 될 것 같은데? 막구조물이면요.
그래서 막구조물 말고, 지금 절연제를 찾는다고 하니까. 
절연제가 막구조물 말고 다른 것도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경제과장 최병조   
다른 것도 있었는데 등록돼 있는 게 없더라고요. 
그래서 그것을 등록을 시켜서 기다려보려고도 했었고. 
그런데 가격도 안 맞고, 등록도 어렵고…… 안 돼 있고 그래서 지금 막주조물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김권한 위원   
하고 나서 불편하시다는 분이 혹시 생길까 봐 걱정입니다.
○경제과장 최병조   
아니, 다른 데 막구조물로 돼 있는 데를 저희가……
김권한 위원   
다른 시장이요?
○경제과장 최병조   
예, 시장 그것 검토해 봤는데…… 아니, 가보고 또 물어보고 그랬는데 불편을 호소하는 분은 없었습니다, 폴리카보네이트보다도.
그런 것도 현장 다 그것 조사해 보고, 다 해봤습니다.
김권한 위원   
그러니까 예를 들어서 저희도 이제 시장을 방문하다 보면 시골 시장이라도 길이 널찍널찍한 데 있어요.
개방감이 있는 데는 막구조물도 상관없을 거예요.
그런데 개방감이 없이, 이 공주같이 그 골목이 좁은 데는 만약에 그 막구조물로 했을 경우에 사실은 대번 어둡다라고 할 거예요.
지금보다는 어두울 겁니다. 그렇죠? 
그런데 그것에 대해서 막상 상인분들이 전부 다 지금 막구조물로 한다는 걸 모를 걸요? 모를 겁니다.
단지 교체한다고만, 똑같은 걸로 교체되겠지라고만 생각하고 계실 거라고요.
그러다 막상 막구조물로 하고 나니까 “왜 이렇게 어두워?”라고 하실 것 같아서 지금 걱정이 들어서 드리는 말씀이고요.
혹시라도 다른 그 절연제에 조금 더 비용이 들어가더라도 사실은 개방감이 있어서 하늘을 볼 수 있으면 좋죠, 지금도 하늘은 못 보지만.
○경제과장 최병조   
그게 인증받은 게 없어가지고.
김권한 위원   
아, 그래요?
○경제과장 최병조   
예, 그래서 그런 상황이고요.
아무튼 그 부분에 대해서 이제 시행할 때 한번 잘 검토해 보겠습니다.
김권한 위원   
예, 알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위원장 송영월   
예, 서승열 위원님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서승열 위원   
그 유구시장의 장옥에 있는 분들 그 기간이 언제까지 있어야 되는 사람들이에요?
○경제과장 최병조   
계약 기간이 다 각자 달라서요.
서승열 위원   
그래서 자동 계약…… 연장 계약해 주는 거예요, 아니면 계약 기간이 끝나면 공모를 한다든가 이렇게 해서 하는 거예요?
그전에 한 번 얼핏 어필한 적이 있는 것 같은데? 어떻게 하고 있는지, 지금.
○경제과장 최병조   
그것은 팀장님이 한번……
○소상공인지원팀장 조수진   
(공무원석에서)예, 경제과 소상공인지원팀장 조수진입니다.
서승열 위원   
예.
○소상공인지원팀장 조수진   
(공무원석에서)저희가 지금 장옥 같은 경우는 10년 정도 계약을 하고, 나머지 이제 계약이 종료되면……
서승열 위원   
몇 년이요?
○소상공인지원팀장 조수진   
(공무원석에서)10년이요.
그래서 공개모집……
서승열 위원   
아니, 임대를 10년씩 하는 데가 어디 있어?
○소상공인지원팀장 조수진   
(공무원석에서)장옥 같은 경우……
서승열 위원   
공주시에 임대 10년 해주는 게 거의 없는 걸로 알고 있는데, 어떻게 10년을 해줬어요?
○소상공인지원팀장 조수진   
(공무원석에서)예전부터 10년…… 지금 10년 정도로 돼 있어가지고……
서승열 위원   
아니, 예전은 상관없어요.
○소상공인지원팀장 조수진   
(공무원석에서)그러니까 처음……
서승열 위원   
어떻게 공주시에서 위탁하는데, 임대를 주는데 10년을 그렇게…… 그러면 연장, 다시 재계약하신 분은 몇 년 해줘요?
○소상공인지원팀장 조수진   
(공무원석에서)그러니까 최대 10년까지 하고, 나머지는 다시 공모를 통해서……
서승열 위원   
또 연장…… 다시 재계약해 주는데 10년을 또 해줘요?
○소상공인지원팀장 조수진   
(공무원석에서)아니요.
다시 10년 하고, 다시 이제 공모를 통해서 다시 장옥을 모집을 하고 있습니다.
서승열 위원   
유구시장의 발전이 안 되는 이유가 지금 현재 차지하고 있는 분들이 그냥 사무실로, 놀이터로 사용하고 있어요.
장사 제대로 하는 분은 몇 분 안 돼, 가보시면 알겠지만. 
장사 제대로 하시는 분들은 저쪽 노점에 계신 분들이 장사를 제대로 하고, 이쪽에 있는 분들은 사무실 임대료가 싸기 때문에 그냥 있는 거예요.
그것부터 개선하고 막구조물을 해주든, 아케이드를 해주든 해줘야 된다는 거죠.
해줌으로 인해서 임대료를 상승시키는 것도 아니죠? 임대료 올라가요?
○경제과장 최병조   
안 오릅니다, 임대료는.
서승열 위원   
왜 안 올려요?
○경제과장 최병조   
그거야 일반 시민들도 같이 다 쓰는 거지, 그 가게에만 혜택 주는 것은 아니니까.
서승열 위원   
그리고 막구조물이 됐든, 아케이드가 됐든 설계를 누가 했는데 이 용역비를 또 세워줘요?
○경제과장 최병조   
그것 용역비가 아니라 구조진단비입니다.
서승열 위원   
구조진단비는 설계회사에서 해가지고 와야지, 어떻게 2000만 원을 또 주느냐고. 
누구를 주는 거예요, 2000만 원을?
○경제과장 최병조   
설계하고 구조진단 용역하고는 틀린 겁니다.
서승열 위원   
그리고 이것 설치하는 회사에서 구조진단 해가지고 오는 것 아니에요?
○경제과장 최병조   
아닙니다.
서승열 위원   
해가지고 와서 설치를 해야지, 그것도 없이 그 막구조물 하는 회사가 어떤 회사에서 하는데 그걸 못 해요?
자기네 구조물을 세우면 거기에 대한 구조진단…… 구조계산서가 다 있어요, 그 사람들이.
그러면 설계회사에서 그쪽에다 요구해가지고 받아서 주면 되는 거지, 무슨 용역비 2000만 원을 더 줘요? 
이런 설계는 나는 못 봤어요.
어디가 그런 설계를 해요?
시청에서 허가과에서 요구를 한다고 해도 그러면 설치하는 분한테 요구를 해서 받아다 구조계산…… 그것 구조기술사가 하룻저녁이면 해내는 거예요.
하룻저녁도 안 걸려요. 
그런데 거기다 2000만 원 준다는 거야? 
무슨 비용으로 2000만 원을 줘요?
구조계산하시는 분들한테 물어봐요. 
이것 구조계산하는 데 얼마나 걸리는지, 비용은 얼마 들어가는지. 
그리고 이것 2000만 원을 세워서 어떻게 하겠다는 거야? 
누구 준다는 거예요, 이것?
어디에다 준다는 거예요, 2000만 원을?
설계회사에서도 요구를 해요. 
그러면 자기들이 어떻게 해서라도 받아온다니까. 
설계한 놈들이 구조계산을 안 하고 어떻게 설계를 해?
말도 안 되는 소리예요, 이것. 그렇죠?
○경제과장 최병조   
예, 알아보겠습니다.
서승열 위원   
알아봐서…… 이걸 예산을 세웠다는 자체가 이게 난센스 퀴즈야.
설계하는 사람들이 계산을 안 하고 어떻게 설계를 해, 구조계산을?
○경제과장 최병조   
예, 알아보고요.
그것은 별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서승열 위원   
자기들이 기술이 없으면 설계회사 어디서 했는지 모르겠지만 다른 데다 의뢰해서라도 구조계산을 해가지고 옵니다.
그리고 설치하는 회사도 구조계산을 해야 되는 거고. 
둘 중의 하나는 해야 돼요.
그런데 안 했다고 허가과에서 요구하는데 용역을 다시 줘?
2000만 원을 누굴 주냐고, 누굴 주는…… 어디다 하려고? 구조계산하는 회사에다가? 그것 말도 안 되는 소리예요.
설계한 사람이 계산을 해오든, 설치하는 사람이 해오든 둘 중의 하나는 해와야죠.
이것 설계한 사람도 이게 용량 미달이지, 이걸 못 하면. 그렇죠? 
허가과에서 어떤 걸 요구했는지 모르겠지만 그것을 설계한 사람도 용량 미달, 설치하는 사람들도 부실. 
그렇잖아요.
자기들이 세운 걸 구조계산을 해가지고 오지 못하는 걸 무슨 구조물…… 우리가 받을 수도 없지, 그것은.
구조계산이 다 된 상태에서 설치를 해야지, 검증이 끝난 데에서. 
그렇잖아요.
그리고 아케이드 해주면 거기 임대료가 지금 한 칸당 얼마예요? 한 칸당, 임대료.
○소상공인지원팀장 조수진   
(공무원석에서)저희가 정확하게는 지금……
○경제과장 최병조   
평당……
서승열 위원   
한 칸에 얼마냐고, 장옥.
○소상공인지원팀장 조수진   
(공무원석에서)지금 면적마다 좀 다르기 때문에.
구본길 위원   
(마이크 꺼짐)6만 5000원, 한 달에.
서승열 위원   
한 달에 얼마요?
구본길 위원   
(마이크 꺼짐)6만 5000원.
서승열 위원   
그 임대료가 시중 가격하고 맞아요?
○소상공인지원팀장 조수진   
(공무원석에서)거의 한…… 아니, 지금 가격이 정확하게 생각이 안 나가지고.
구본길 위원   
(마이크 꺼짐)대충 그 정도예요.
1년에 70 몇만 원이에요.
○소상공인지원팀장 조수진   
(공무원석에서)예, 한 100만 원에서 면적에 따라서 조금 가격도…… 내년에 사용료 내는 것은 또 다르겠지만요.
서승열 위원   
컨테이너 하나 사용료보다도 싸요, 컨테이너. 그렇죠? 
컨테이너 공주시에서 빌려다 쓰는 임대료, 사용료보다도 싸다고요. 
그것 아세요?
그걸 강력히 주장을 해서 아케이드를 해주든, 막구조물을 해주든 조정을 하고 실질화를 시키고.
거기 들어가서 장사를 열심히 할 수 있는 사람을 모집을 해야 됩니다.
그 춥고…… 장사를 활성화시키고, 장사를 잘하시는 분들은 노점에다 내버려놓고 저쪽 귀퉁이에서 장사하라고 하고. 
실질적으로 장사를 열심히 하고, 잘할 사람들이 그 자리를 차지해야만이 유구시장이 활성화되고 시민들도 불편하지 않습니다.
장사를 열심히 하시는 분들은 저 노점에 깔려있잖아요. 그렇죠? 
추울 때도 손발 시리고 하면서 다 해주고. 
그런데 거기 6만 5000원 받고, 1년에 70만 원 받고 장소만 차지하고 10년씩 계약해 주는 계약이 어디 있습니까?
말도 안 되는 소리죠. 그렇지 않습니까? 
공주시에서 시 건물을 임대해 줄 때 10년 이상 계약해 준 데가 어디 있어요? 없지요.
있어요, 다른 데?
한번 그것 조사를 해보세요. 
조사해서 나한테 얘기해 주세요.
그리고 거기 장옥에 계신 분들 계약 기간이 언제, 언제 끝나는지 그것도 조사해가지고 해주시고. 
그래서 장사를 열심히 할 수 있는 청년분이나 저기 바깥에 노점에서 가게가 없어서 겨울 되면 덜덜 떨고, 손 시리고 이런 분들.
또 여름이면 더워서 그늘 아침부터 가서 포장치고 장사하시는 분들, 죽자 살자 하시는 분들 이런 분들이 들어가서 장사할 수 있게 해주셔야지.
처음에 계약을 10년 해주는 데가 어디 있어요? 
상인회에서 못 하게 합니까?
그게 어디하고 마찰이 생겨서 그런 거예요?
임대료도 언제 계산했는지 모르겠지만 현실성이 떨어지고. 
현실성이 떨어지죠?
떨어집니까, 안 떨어집니까? 
어떻게 생각하세요? 팀장님이.
○소상공인지원팀장 조수진   
(공무원석에서)개인 건물이 아니고 공주시 건물이라서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 저희가 조금 저렴하게 하는 것은 맞습니다.
서승열 위원   
그런데 그 사람들이 시장 활성화를 막고 있다니까요, 실질적으로 보면.
장사를 열심히 할 수 있는 분이 들어가서 활성화를 시켜줘야 되는데.
전체 유구시장의 초입이잖아요, 거기가. 그렇죠?
주차하고 가장 가깝고. 그렇죠?
어떤 집은 가보면 장사를 안 하는 집도 있어요.
그런데 가게는 차지하고 있다는 거죠. 
그것은 절대 안 맞는다는 거죠.
열심히 장사하실 분들이 들어가서, 유구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는 분…… 젊은 사람들이라든가 이런 사람들로 해서 활성화시킬 계획이 있는 사람들이 들어가야지.
그래서 활성화가 안 될 사람이 들어가면 6개월 있다라도 빼라고 해야죠.
그게 시장의 논리 아닙니까? 
백화점 가보셨잖아요.
아무리 장사가 잘돼도 그중에서 못 하는 사람은…… 일정량의 매출액이 안 되는 사람들은 자동 아웃시켜버려요, 한 달이면.
두 달 만에 그냥 아웃시켜버립니다. 그렇죠? 
그게 시장의 논리입니다.
유구시장을 활성화시키는 방법이라고.
아케이드 해주고, 막구조물 해주고, 거기다 안내센터 해주고. 
돈은 수억 들어가요, 계속 연차적으로.
그런데도 활성화가 안 되는 이유가 장옥이 활성화가 먼저 되고 나서 다른 노점이 생기는 거지.
장옥이 활성화가 안 되고, 장사 안 하는 집도 있고, 그냥 의자만 놓고 자기들 고스톱이나 치고, 개인 사무실처럼. 
6만 5000원이면 누구든지 개인 사무실로 쓸 수 있어요. 그렇죠? 연 70만 원. 
거기서 먹고 자고 해도 싸고. 
그렇게 시장에서 내버려 놓으면 안 된다는 거죠.
그리고 지금 더 얘기 안 하고, 이 막구조물 용역 2000만 원은 올해 이게 우리가 삭감을 할지, 안 될지 모르겠지만 이것은 분명히 설계사가 불량이든지.
설치하는 데가 구조계산도 못 하는 놈들이 들어와서 설치하는 걸 어떻게 할 건데? 
그걸 어떻게 할 건데 설치를 해요?
○경제과장 최병조   
예, 알아보고 바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서승열 위원   
아니, 설명이 아니라 여기에서 보면 구조물을 설치하는 놈들이 구조계산 안 된 걸 갖다 설치한다는 것 아니에요. 
설치를 했어요?
○경제과장 최병조   
아니, 설치 아직 안 했고 설계만 끝났습니다, 현재.
서승열 위원   
설계했는데 그 구조물로 설계를 했어요. 
뭐 특허를 했든지, 뭘 했든지. 
거기에 구조계산이 없이 구조물을 우리가 받아준다? 설계한 놈들도 마찬가지지.
○경제과장 최병조   
처음에는 구조 그걸 안 넣었다가 그 허가 신청하는 과정에서 허가건축과에서 얘기 나와가지고 별도로 세웠기 때문에……
서승열 위원   
허가건축과에서는 당연히 구조계산서를 갖고 오라고 하죠.
○경제과장 최병조   
예, 그러니까 별도로 세워놓은 바람에.
서승열 위원   
그런데 설계한 사람이 어떻게 구조계산을 안 한 설계를 하느냐는 얘기지. 
이게 완전 용량 미달이랍니다, 용량 미달. 그렇죠?
구조물 설치할 분도 구조계산이 돼 있어야 되고, 설계사도 구조계산을 자기들이 했어야 되고. 
구조계산을 못 하는 놈들이 어떻게 설계를 해? 나는 이해가 안 간다는 거죠.
이해가 갑니까? 
아니, 구조계산을 못 하는 사람이 어떻게 설계를 해요?
설계는 자기들이 누구 기술자를 동원하든, 구조계산기술자를 데려다 자기들이 하든 설계에 구조물을 해가지고 와야 됩니다.
그것을 2000만 원을 더 준다? 누구를 줘요? 누구 줄 건데? 그것을 책임질 수 있어요?
○경제과장 최병조   
예, 상황에 대해서 별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그것 조사해 보고요.
서승열 위원   
설계회사, 구조물회사한테 분명히 요청을 해서 받아들이십시오.
그리고 이것은 본인들이 삭감을 하세요. 
우리가 뭐 삭감할 필요도 없고, 본인들이 삭감하셔야지. 
그러니까 이월을 시켜서 반납하든지 하셔야지, 이걸…… 나 이런 것을 예산에 올렸다는 게 참 믿기지 않네요.
그것은 추후에 꼭 보고하세요.
○경제과장 최병조   
예, 알겠습니다.
서승열 위원   
이상입니다.
구본길 위원   
과장님, 수고하십니다. 
유구 장옥에 대해서, 지금 장옥 설치된 데 말고 터미널 쪽으로 지금 아케이드가 없잖아요.
지금 거기가요, 쭉이요.
그래서 예전에 한 번 검토했었던 것은 알고 있는데, 지금 그 세월이 많이 흘러서 한번 그 터미널 쪽으로…… 거기는 장옥은 아니죠.
그냥 일반 저기인데, 그분들이 겨울 되고 이렇게 되면…… 비 오고, 눈 오고 하면 상당히 애로사항이 많아서 그걸 해주면 좀 어떻겠느냐라고 계속해서 우리한테 이야기를 하는데 한번 세월이 지금 많이 이제 흘렀으니까 한번 다시 검토해서 뭐가 문제인지 아니면 건물주들이 싫어하는 건지. 
그것 장사하시는 분들은 상당히 원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거든요.
그래서 한번 그것 과장님, 검토 좀 해주십사 하고 건의 말씀드립니다.
○경제과장 최병조   
예, 알겠습니다.
검토해 보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예, 더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경제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경제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도시정책과 소관 예산안 및 기금운용 변경안 심사를 하겠습니다.
도시정책과장은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시정책과장 윤석봉   
도시정책과장 윤석봉입니다. 
도시정책과 2024년도 제3회 추경예산안에 대하여 주요 사업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256쪽입니다. 
상단 세부사업 도시계획 체계 관리 중 사무관리비 불법개발행위지 기초조사 측량 800만 원입니다.
연중 발생하는 불법개발행위에 대한 조사측량 용역비 중 집행잔액 400만 원을 감액 편성하였습니다.
중단 세부사업 동현지구 스마트 창조도시 조성 중 시설비 동현지구 스마트 창조도시 조성사업 용역비 26억 원입니다.
동현지구 스마트 창조도시 조성과 관련된 실시설계 안정성 및 공사기간 적정성 검토 용역 추진을 위한 용역비 1억 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아래 세부사업 도시개발사업 중 시설비 공주시 도시개발사업 공공기여방안 마련 용역 2090만 원입니다.
도시개발사업 등 개발이익 환수를 위한 공공기여방안 마련에 필요한 용역비 중 집행잔액 910만 원을 감액 편성하였습니다.
하단 세부사업 기본경비 중 자산취득비 사무실 이전 집기 및 물품 구입 1000만 원입니다.
2025년 조직개편 관련 사무실 이전에 필요한 집기 및 물품 구입을 위하여 1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도시정책과 예산안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도시정책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도시정책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도시재생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도시재생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시재생과장 안광희   
도시재생과장 안광희입니다. 
도시재생과 소관 2024년도 제3회 추경예산안에 대하여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도시재생과는 기정액 93억 9299만 1000원 대비 600만 원이 증액된 93억 9899만 1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263쪽입니다. 
세부사업 도시재생 뉴딜사업 201-01 사무관리비로 6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공주하숙마을 숙박객 증가 및 세탁비 단가 증가에 따른 세탁비 400만 원과 2022년도 국토교통부 뉴빌리지 공모사업 신청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유구읍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 용역 제안서 평가를 위한 평가위원회 위원 심사 및 기술자문수당으로 200만 원을 각각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도시재생과 추경예산 설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도시재생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도시재생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허가건축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허가건축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허가건축과장 남윤선   
허가건축과장 남윤선입니다. 
허가건축과 소관 2024년 제3회 추경예산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기정예산 대비 1억 564만 3000원이 감소한 60억 887만 8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집행 후 잔액은 서면으로 보고드리고, 세부 사항으로 270페이지 중간 301-01 사회보장적수혜금으로 국민기초보장법에 근거하여 기초생활수급자의 주거급여 3200가구의 임차료 지급 부족분 1억 3749만 8000원이 증가한 38억 9125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271페이지 201-01 사무관리비로 조직개편 및 사무실 재배치 계획에 따른 이사업체를 통한 사무실 이전과 이사 후 필요한 집기물품 구입을 위하여 400만 원이 증가한 44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허가건축과 소관 제3회 추경예산안의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허가건축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허가건축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건설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건설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건설과장 김만수   
건설과장 김만수입니다. 
275쪽 건설과 소관 2024년도 제3회 추경예산안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건설과는 기정예산액 대비 2억 9261만 원이 증액된 1470억 2117만 4000원으로 계상하였습니다.
세부사업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278쪽 중간 부분 소규모 생활편익사업 6건에 대한 사업비로 1억 7500만 원을 계상하고, 하단 부분 소규모 시설 수해복구 2건에 대한 사업비로 7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279쪽 중간 부분 지방하천 수문 점검 및 유지보수 기타보상금 하천관리자 운영비로 1470만 원을 계상하고, 지방하천 재해예방 호우피해 복구비로 6억 9637만 2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280쪽 국가하천 유지보수를 위하여 1억 7500만 원을 계상하고, 농업생산기반시설 소규모 수선 및 공공요금으로 300만 원이 증액된 2300만 원을 계상하였고, 아랫부분 행정운영경비로 일반운영비 및 여비로 1000만 원을, 조직개편으로 집기 구입을 위한 자산취득비로 1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281쪽 국도비 보조금 반환금 5개 사업 4억 3254만 8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건설과 소관 제3회 추경안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건설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건설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교통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교통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교통과장 고영석   
교통과장 고영석입니다. 
교통과 소관 2024년 제3회 추경예산안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2024년 제3회 추경예산안은 기정예산 327억 8505만 5000원 대비 7억 8225만 원이 감소된 320억 280만 5000원입니다.
주요 사업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287쪽입니다.
중단 세부사업 운수업계 보조 중 307-09 운수업계보조금 화물자동차 유가보조금과 택시 유가보조금입니다.
화물자동차 유가보조금은 2억 4000만 원 감소, 택시 유가보조금은 1억 원이 감소된 28억 6000만 원으로 전년에 비하여 유류세보조금 지급 단가의 상승폭이 작아 집행잔액을 감액하였습니다.
288쪽 상단 세부사업 대중교통 이용지원(자체) 사업입니다.
308-07 자치단체간부담금 어린이ㆍ청소년 버스지원 부담금과 충남형 광역환승할인 지원, 2023년 어린이ㆍ청소년 버스지원 정산 부담금입니다.
충청남도에서 일괄 추진하는 6세에서 18세 어린이ㆍ청소년의 대중교통 무료 이용에 따른 충청남도 버스지원 부담금 변동요구액과 광역환승할인 손실부담금 요구액 중 부족분 증액, 2023년도 어린이ㆍ청소년 버스지원 정산에 따라 부족분을 요구하여 6943만 2000원을 증액한 5억 3327만 7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중단 세부사업 대중교통 이용지원 보조사업입니다.
307-09 운수업계보조금 충남형 교통카드 손실보상과 어린이ㆍ청소년 버스 지원(할인액) 손실보상입니다.
충청남도 시책사업에 따라 75세 이상 어르신 국가유공자 및 장애인 버스이용요금 지원액 중 도비 보조금 추가 지원액 2억 6500만 원과 6세에서 18세 어린이ㆍ청소년의 이용요금 도비 추가 지원액 642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하단 세부사업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 중 308-13 공공기관 등에 대한 경상적 위탁사업비로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입니다.
광역알뜰교통카드 연계 K-패스 카드로 결제한 대중교통 이용횟수 15회에서 60회 이용 시 실적에 따라 환급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이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국비 추가에 따른 시비를 추가 반영하여 국비 780만 원과 시비 780만 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289쪽입니다. 
상단 세부사업 공주-세종 광역 BRT 구축사업입니다.
401-01 시설비 공주-세종 광역 간선급행버스(BRT) 구축사업입니다.
사업계획 변경으로 실시계획인가의 승인에 따라 토지보상지가 제외됨에 따라 토지보상비 13억 400만 원을 감액 편성하였습니다.
중단 세부사업 시내버스 적자노선 재정지원입니다.
307-09 운수업계보조금 시내버스 적자노선 재정지원입니다.
「2024년도 충남 버스 운송손익 분석 및 공정한 배분에 관한 연구용역」 보고에 따른 손실추정액 중 약 102억 9100만 원의 73.8%인 보조분 76억 중에 기정 71억 원을 확보하고, 잔액인 5억 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하단 세부사업 KTX공주역 활성화 시내버스 운행지원입니다.
307-09 운수업계보조금 한국고속철도(KTX) 공주역 활성화 시내버스 재정지원입니다.
「2024년 충남 노선버스 운송손익 분석 및 공정한 배분에 관한 연구용역」 보고에 따른 손실추정액 약 6억 3700만 원의 93.5%인 보조분 5억 9600만 원 중 기정액 5억 4600만 원을 확보하고, 잔액인 5000만 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아래 세부사업 시내버스 무료환승 손실지원입니다.
307-09 운수업계보조금 시내버스 무료환승 지원입니다.
관내 대중교통 이용촉진, 이동권 보장, 교통비 경감을 위한 무료환승 지원사업으로 환승에 따른 손실보상 부족액인 5000만 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290쪽입니다. 
상단 세부사업 택시자율감차사업입니다.
307-09 운수업계보조금 공주시 택시 자율 감차 지원입니다.
당초 감차 목표인 10대 중 국비 지원액 감차 대수를 제외한 2대분의 전액 시비에 대하여 2억 6000만 원을 감액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주차장 특별회계입니다. 
296쪽입니다.
아래 세부사업 공영주차장 조성 401-03 시설부대비 신관동 공영주차타워 건립 공사입니다.
신관동 공영주차타워 준공 기념식 및 홍보(안내) 예산이 부족하여 500만 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하단 세부사업 신관동(우수저류) 공영주차타워 건립입니다.
401-01 시설비 신관동 공영주차타워 건립 공사입니다.
신관동 공영주차타워 공사의 설계 변경 및 물가상승으로 인한 총사업비가 변경되어 마무리 공사를 위한 공사비로 5억 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교통과 제3회 추경예산안에 대하여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김권한 위원님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김권한 위원   
KTX공주역 시내버스비에 대해서 여쭤볼게요.
○교통과장 고영석   
예.
김권한 위원   
지금 그 노선의 시내버스 수입이 혹시 얼마인지 아십니까?
○교통과장 고영석   
지금 수입금은 제가 파악을 좀 못 하고 있습니다.
김권한 위원   
이게 지금 저는 4100만 원으로 계산했었거든요.
이게 아니겠죠?
○교통과장 고영석   
그 부분은 제가 다시 추후에 자료를 보충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김권한 위원   
아니, 물론 당초 계획하고는 많이 다를 거예요. 
저희가 혹시 이용객 수는 아나…… 이용객 수랑 같은 건가요?
월평균 시내버스 그 노선, 그 KTX 타는 이용객이 얼마나 됩니까?
이게 지금 제가 기초 자료가 없어서 제가 잘못 계산을 한 것 같은데, 제 계산으로는 4100만 원의 수입이 있고.
그러니까 손실추정액이 6억 3700만 원인데 여기서 보조분 5억 9600만 원에서 나머지 5.5%가 4100만 원이에요.
그러니까 아, 그러면 4100만 원의 수입밖에 안 되는구나. 
그러면 연평균으로 따지면 한 1500원 계산해서, 버스비를. 
1550원인가요, 시내버스비가?
○교통과장 고영석   
지금 1500원입니다.
김권한 위원   
1500원으로 계산을 해서, 계산해 보면 지금 KTX역에서 방문해서 시내버스를 타는 사람이 2만 2000명이다, 이렇게 계산하면 대략 맞나요?
지금 KTX 이용객이 몇 명입니까, 1년에? 공주역 이용객이.
20만으로 계산을 해서. 그렇죠?
좀 과하게 잡은 거죠? 20만 안 되죠? 
그중에 10%가 시내버스 탄다, 2만 명이죠.
2만 명의 버스비를 우리가 적자 노선을 지원하는데 6억 3700에서 5억 9600이다라고 계산을 하면 한 사람당 2만 2000원을 지원하는 거예요.
방문객 한 사람당. 
그런데 왕복으로 계산하면 4만 4000원이죠.
그 KTX역에서 오는 사람들 현금으로 그 반만 줘도 훨씬 낫습니다.
그러니까 이게 일몰을 검토해 봐야 되지 않나 하는 말씀을 드리는 거예요.
단일 노선으로 우리가 6억을 지원하는 것은 굉장히 과하지요.
물론 KTX로 오시는 분들한테 교통편을 우리가 제공을 해야 돼요.
택시비가 얼마나 됩니까? 
1만 원, 1만 5000원 나오나요? 
더 나오나요? KTX역에서 공주 시내까지.
○교통과장 고영석   
아마 더 나올 것 같은데요.
김권한 위원   
더 나오나요?
○교통과장 고영석   
예, 그럴 것 같습니다.
김권한 위원   
훨씬 더 나오나요? 2만 원 더 나올까요?
○교통과장 고영석   
그런데 이게……
김권한 위원   
그러면 사실은 그분들한테……
○교통과장 고영석   
이 버스가 지금 계실리 그 소방방재청인가 그쪽까지 지금 운행을 하고 있습니다.
김권한 위원   
그 버스가?
○교통과장 고영석   
예, 그래서 공공형으로 지금 운행을 하고 있습니다.
김권한 위원   
아, 그렇게까지. 
몇 회 운행합니까?
○교통과장 고영석   
제가 한 6회 정도로 알고 있는데, 그 부분은 자세하게……
김권한 위원   
죄송한데 더 단순 계산을 하려고 하는 거예요. 
더 단순 계산은 아니, 시내버스 타지 말고 사실은 우리가 그냥 시에서 아니면 계실리에 지원을 하든, 시에서 지원을 하든 관광버스 1대 임차해 주고 하면 이것의 3분의 1 비용도 안 들겠는데요.
그래도 2억이거든요. 
6회 노선이면, 6회 왕복에 1대 가지고 왕복하거든요.
그러면 더 좋은 승차감이 있는 차량을 할 수 있다. 
그러니까 왜 이런 계산이 나오느냐 하면 우리가 당초에 시내버스 KTX공주역의 그 이용객을 잘못 추산했기 때문에. 
이용객이 잘못 추산됐고, 거기서 내려서 시내버스 타는 이용객도 잘못 추산해서 이런 일이 생겼다고 보거든요.
저는 2만 명, 월 2000명이 아니라 월 한 7000~8000명 정도는 최소한 버스를 타겠다라고 계산했는데 막상 열고 보니까 이것 월 한 2000명밖에 이용을 안 하거든.
그러다 보니까 월 2000명한테 지원하는 게 택시비 이상을 지원하고 있는 거예요.
그러니까 이용객도 불편하고, 시내버스 회사도 좋지 않고, 아무한테도 도움이 안 되는 지금 정책을 하고 있는 거죠.
그렇다면 제 계산이 맞다면 이것은 일몰을 한번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정말 순환버스를 1대 차라리 두든지, 안 그러면 택시비를 지원을 하든지. 
그러면 월 2000명이면 하루에 한 70명 이용한다는 것 아니에요? 
그러면 택시 70대의 수입도 늘어날 테고요.
제가 볼 때는 이게 지금 시내버스 회사도 돈 버는 게 아니거든요.
단순히 적자만 보전해 주는 거잖아요. 
이익을 보전해 주는 것은 아니잖아요.
○교통과장 고영석   
예, 그렇습니다.
김권한 위원   
아니, 그러면 제가 볼 때는 그것 계산 한번 해보셔서…… 1일 이용객, 버스 이용객 그것 계산 한번 해보셔가지고 이것은 한번 일몰을 검토해 보시죠.
○교통과장 고영석   
예, 알겠습니다.
김권한 위원   
이것 바로 계산해 보셔가지고요, 바로 내년 예산부터 적용할 수 있나도 한번 따져볼 수 있게 그렇게 한번……
○교통과장 고영석   
예, 검토해서 한번 보고드리겠습니다.
김권한 위원   
예, 이상입니다.
○위원장 송영월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교통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교통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도로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도로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로과장 김진택   
도로과장 김진택입니다. 
도로과 소관 2024년도 3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301쪽 상단입니다. 
총세출 예산 규모는 기정액 698억 802만 2000원 대비 2억 1138만 2000원이 감액된 695억 9664만 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신규 및 증액된 사업 위주로 설명드리고, 집행잔액 등 감액된 세부사업은 예산서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01쪽 중단 207-01 연구용역비 2024년 지방도 교통량조사 도비 성립전 예산 700만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301쪽 하단 시도 확포장 201-01 사무관리비로 국도23호 신공주대교 연결로 공법 심의 및 국도32호 단지리교차로 전문가 자문을 위하여 240만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302쪽 상단 농어촌도로 확포장 401-01 시설비 탄천 안영리(리도206호) 확포장에 1억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302쪽 하단 도로과 행정운영경비 201-01 사무관리비 800만 원, 201-02 공공운영비 100만 원 등 9900만 원, 405-01 자산 및 물품취득비 1400만 원을 조직개편 및 사무실 이전에 따른 사무용 집기 구입을 위하여 증액 반영하였습니다.
이상 도로과 소관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도로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도로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산림공원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산림공원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산림공원과장 우공식   
산림공원과장 우공식입니다. 
산림공원과 소관 2024년 3회 추경예산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산림공원과는 47억 5350만 7000원이 증액된 404억 2927만 9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주요 증액 사항은 임업직불금은 36억 2607만 5000원과 국도비 보조금 반환금 11억 1502만 2000원입니다.
세부 사항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세출예산 사업명세서 310쪽 중단부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 수집단 운영을 위한 기간제 근로자 등 보수로 400만 원을 산림사업 확정 내시에 따라 증액하였습니다.
311페이지 하단부 산불방지대책본부 운영을 위한 근무복 구입을 위해 84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312페이지 중단부 2024년 임업직불금 지급을 위해 36억 2607만 5000원을 계상하였고, 하단부 201-01 방송매체 등 활용 2025년 밤산업 박람회 홍보를 위해 5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13페이지 상단부 기계 유지관리를 위해 300만 원을, 공공시설물 공공요금으로 60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산림공원과 소관 2024년 3회 추경예산안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산림공원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산림공원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상하수도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상하수도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상하수도과장 남상봉   
상하수도과장 남상봉입니다. 
상하수도과 소관 2024년 3회 추경 일반회계 세출예산과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페이지 323쪽입니다. 
먼저 일반회계 세출예산입니다.
기정액 234억 9047만 원 대비 1.15% 감액된 232억 2058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세부사업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페이지 324쪽 중간부입니다.
401-01 농어촌 생활용수 개발 중 일부 시비 사업이 도비 지원 사업으로 변경됨에 따라 차액 2억 5000만 원을 감액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일반회계 세출예산 설명을 마치고, 이어서 상하수도공기업 특별회계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상수도공기업 특별회계 세입예산입니다. 
페이지 347쪽입니다.
상수도사업 특별회계 세입예산안은 기정액 대비 1억 원이 증액된 429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사업 내역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611-01 가정용상수도사용료 1640만 원을 증액 조정하였습니다.
348쪽 상단부입니다. 
173-01 국고보조금수입 내흥1리 취약지역 상수도 급수구역 확장공사에 7460만 원을 증액 조정하였으며, 180-02 국고보조금사용잔액 보조금 사업 반납금 900만 원을 증액 조정하였습니다.
다음은 상수도공기업 특별회계 세출예산입니다.
페이지 351쪽입니다. 
상수도공기업 특별회계 세출예산은 기정액 대비 1억이 증액된 429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증액된 세부사업 내역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52쪽 중간부입니다. 
401-01 시설비.
지역활력과에서 추진하는 내흥1리 농어촌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 중 상수도 분야 시설공사 내흥1리 취약지역 상수도 급수구역 확장공사의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비용 국비 7460만 원을 신규로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상수도공기업 특별회계에 대하여 설명을 마치고, 이어서 하수도공기업 특별회계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하수도 특별회계 세입예산입니다.
379쪽 상단부입니다. 
하수도 특별회계는 기정액 대비 44억 원이 증액된 367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증액된 세부사업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80쪽 상단부입니다. 
173-02 타회계건설보조금수입과 173-03 시도비보조금수입은 우성면 마을하수도 설치사업과 공주 공공하수처리시설 악취개선사업(2단계) 도비 보조금이 조정 결정됨에 따라 5억 400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으며, 181-01 순세계잉여금 39억 629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하수도공기업 특별회계 세출예산입니다. 
383쪽 상단부입니다.
하수도 특별회계 세출예산안은 기정액 대비 44억 원이 증액된 367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세부 내역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84쪽 중간부입니다.
401-01 시설비 대성ㆍ상서ㆍ우성 마을하수도 설치사업 국도비 보조금 조정 금액 5억 810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385쪽 상단부입니다.
401-01 시설비 공주 공공하수처리시설 악취개선사업(2단계) 도비 보조금 조정 금액 1040만 원을 감액 계상하였습니다.
하단부 802-01ㆍ02 국도비 보조금 반환금으로 공주 공공하수처리시설 지능화시스템 구축사업 국고 보조금 정산 잔액 6300만 원과 도비 보조금 정산액 3000만 원 등 총 93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상하수도과 소관 예산안 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예, 강현철 위원님.
강현철 위원   
수고하십니다, 과장님.  
제 방에서 과장님하고 지역 주민들하고 우성 하수도 때문에 여러 번 상의도 드리고 얘기도 나눴었는데, 이것 때문에 그 동대리하고 상서리ㆍ대성리 마을은 별도로 한 군데 이렇게 지정해서 하실 계획인가요?
○상하수도과장 남상봉   
현재 저희 사업이나 환경부 금강유역환경청 쪽에서 얘기하는 것은 통합 하수도 운영을 기본적으로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러다 보니까 동대ㆍ상서ㆍ대성리 이 지역에서 저희가 단지리 쪽까지 어쨌든 문제가 있어서, 처음에 저희가 그 단지리 마을 소규모 하수도처리시설을 증설을 해서 이렇게 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주민들의 상당한 민원에 의해서, 저희가 주민들하고 몇 가지 문제 때문에 좀 다른 구역, 주민이 요구하는 마을에서 조금 이격된 거리로 이렇게 지금 현재 검토 중에 있습니다.
그것이 이제 검토해서 타당성이 있다든지. 
또 그것에 대해서 저희가 그 환경부하고 승인을 협의를 해야 됩니다.
그래서 만약에 그게 가능하다면 저희도 옮겨서 하려고 이렇게 계획하고 있습니다.
강현철 위원   
그래서 19일 날 도의원님들이 사실은 오기로 약속이 돼 있었는데 이 문제 때문에 오시기로 했었나요, 아니면 다른 문제 때문에 오시기로 했었나요?
○상하수도과장 남상봉   
이 문제도 있고요. 
나머지 어떤 일반적인 저희 건설 부분 쪽에서 국도를 횡단한다든지 아니면 도로 점용에 대한 문제점, 이런 몇 가지를 좀 지적을 해 주셨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그 사안은 국도를 횡단할 때 저희가 굴착이 아니고 비굴착 형태로 저희가 가는 걸로 이렇게 돼 있고요.
저희가 국도32호선 그 시내 지역 정도, 읍내 지역 정도에서 문제되는 게 뭐냐 하면 저희가 그 보도가 굉장히 좁습니다.
거기에는 하수도라든지, 상수도라든지 여러 가지 지장물들이 있어서 그것을 이제 도로 쪽으로 빼내는 이것이 문제가 있느냐, 없느냐? 다시 한번 논산국토관리청으로부터 협의를 다시 한번 받아라, 이런 형태로 지금 의견이 있었습니다.
강현철 위원   
그러면 단지리 요구사항은 좀 어떻게 시에서 생각하고 계신가요?
○상하수도과장 남상봉   
저희가 지금 현재 단지리의 가장 큰 문제는 현재 그 소규모 하수처리시설 용량이 저희가 좀 부족하다는 겁니다.
원래 거기가 택지개발지구만 처리하는 계획으로 됐는데 이게 개발이 지연되다 보니까 본마을에서 그 악취라든지 이런 세천에 어떤 문제가 있어서 이것을 인입을 시켜줬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단지리 그 마을 전체의 어떤 처리장으로 약간 변형이 됐고. 
그러다 보니까 용량이 이제 부족해지는 상태가 됐습니다.
그래서 그것이 저희들 지금 3개 리의 어떤 그런 것 해결…… 별도로 아마 연계 처리하든 아니면 별도 처리하든. 
저희가 어쨌든 환경부한테 다시 국비를 얻을 수 있으면 최대한 얻어서 언젠가는, 제가 봐서는 뭐 당장 언제라고 말씀드리기는 뭐하지만 조만간 그것 검토를 해야 되지 않을까 이렇게 지금 생각하고 있습니다.
강현철 위원   
그래서 이제 그 지역 주민들 이장님하고 또 비상대책위원이라고 또 세워졌더라고요.
그래서 젊은 사람들 위주로 이렇게 있는데, 그 문제 때문에 이제 이장님하고 지역민들 간의 간극이 또 벌어지는 그런 상태도 있었고. 
이게 조만간 빨리 해결되지 않으면 사실은 동네 사람들끼리도 안 좋은 그런 상황이 벌어질 것 같아요.
하여튼 시에서 적극적으로 해서 빠른 시일 내에 설치할 수 있도록, 증설할 수 있도록 그렇게 조치 좀 해 주시기 바랍니다.
○상하수도과장 남상봉   
예, 알겠습니다.
강현철 위원   
예, 알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예,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상하수도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상하수도과장 수고하셨습니다. 
이상으로 경제도시국 소관 부서에 대한 심사를 마쳤습니다.
본 위원장이 원만한 회의진행을 위하여 14시까지 정회하고자 하는데 위원 여러분! 이의 없습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이의가 없으므로 지금부터 14시까지 정회를 선포합니다.

(12시 12분 회의중지)

(14시 00분 계속개의)

○위원장 송영월   
의석을 정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오전에 이어서 예산안 심사를 계속 진행하겠습니다.
다음은 농업기술센터 순서로, 먼저 농업정책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농업정책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업정책과장 이철원   
농업정책과장 이철원입니다.
농업정책과 소관 2024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세출 예산서 399쪽입니다.
농업정책과 2024년 제3회 추가경정예산 규모는 기정액 559억 2666만 9000원 대비 3% 증가한 16억 9454만 2000원 증액하여 총 576억 2121만 1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이어서 세출 예산 사업명세서에 의거, 주요 단위사업 중 신규사업과 증액사업 위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예산서 403쪽 하단입니다.
사업설명서 1쪽, 301-14 기타보상금 친환경 농업 직접직불금입니다.
본 사업은 일반 농가와 비교해 친환경 농가의 초기 소득 감소분 및 생산 차이를 보전하여 친환경 농업 확산을 위한 것으로, 국비 3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서 404쪽 상단입니다.
사업설명서 2쪽, 307-06 보험금 농작물 재해보험료 지원입니다.
이 사업은 도비 보조사업으로, 자연재해 등으로 인한 경영 불안을 해소하여 농가의 소득 및 경영 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5억 5221만 4000원을 증액한 21억 8571만 4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사업설명서 3쪽, 307-06 보험금 농기계 종합보험 지원입니다.
본 사업은 도비 보조사업으로, 농작업 중 발생하는 농기계 사고를 보험으로 보상하여 농업인의 안정적인 영농활동 및 복지 증진을 위하여 보험료를 지원하는 것으로 1200만 원을 증액한 2억 7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서 404쪽 중간, 사업설명서 4쪽 302-02 민간인 재해 및 복구활동 보상금 7~8월 폭염 인삼 피해 복구비입니다.
본 사업은 인삼재배 농가 중 폭염 피해 농가에 대해 복구비 및 생계비 등을 지원하는 것으로 예산액 7584만 5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사업설명서 5쪽, 302-02 민간인 재해 및 복구활동 보상금 9월 호우피해 복구비입니다.
본 사업은 도비 보조사업으로, 호우로 인한 농작물 피해농가에 대해 복구비 및 생계비를 지원하는 것으로 2억 1250만 3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서 404쪽 하단, 사업설명서 6쪽 302-02 민간인 재해 및 복구활동 보상금 7~9월 이상고온 벼멸구 피해 복구비입니다.
본 사업은 도비 보조사업으로, 벼멸구 피해 농가를 지원하여 농가 경영 안정을 도모하고자 6936만 3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서 405쪽 중간, 사업설명서 7쪽 301-14 기타보상금 논 이모작 재배농가 지원입니다.
이 사업은 도비 보조사업으로, 농지 이용 효율 확대를 위해 논 이모작 재배농가에 대해 장려금을 지원하는 것으로 예산액 1억 19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서 406쪽 상단, 사업설명서 8쪽 301-14 기타보상금 친환경 농산물 인증비 지원입니다.
본 사업은 도비 보조사업으로, 친환경 농산물 인증에 소요되는 인증 수수료 및 수질검사ㆍ잔류농약 검사 등 안전성 검사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1665만 원을 증액한 8765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상단, 사업설명서 9쪽 301-14 기타보상금 저탄소 친환경 환경보전비입니다.
본 사업은 무농약 지원횟수 3회, 유기인증 지원횟수 5회를 초과하여 친환경 직불금을 수령하지 못하는 농업인에 대해 친환경 직불금 지원단가의 50%를 지원하는 도비 보조사업으로, 1920만 원을 증액한 48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중간, 사업설명서 10쪽 401-01 시설비 충남형 스마트팜 복합단지 조성입니다.
본 사업은 스마트 농업 확산과 농업 혁신을 선도할 청년농업인 육성을 위하여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하고 부지를 임대하는 도비 보조사업으로, 사업비 2억 5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하단, 사업설명서 11쪽 301-02 민간경상사업보조 고품질 꽃마늘 재배농가 농자재 지원입니다.
이 사업은 마늘 주산지로서 고품질 마늘 생산을 위해 자재를 지원하는 도비 보조사업으로, 이중 피복 비닐과 부직포를 기 지원하였으나 농가 수요가 많아 자체사업으로 부직포를 추가 지원하고자 3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농업정책과 소관 2024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해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강현철 위원님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강현철 위원   
수고하십니다, 과장님.
이 농작물 재해 보험료 지원에 있어서 5억 5200만 원인데 이게 어떤 규격이 있는 데에만 하는 거예요, 신청자 모든 사람한테 지원을 해주는 거예요?
○농업정책과장 이철원   
농작물 재해 보험료……
강현철 위원   
예, 재해 보험료 지원이.
○농업정책과장 이철원   
그거는 저희한테 신고가 들어오는 부분이 있습니다.
강현철 위원   
그러니까 신청하는 농가……
○농업정책과장 이철원   
저희가 읍면동을 통해서 피해 농가 조사를 하고 거기에 따라서 저희가 지원하는 겁니다.
강현철 위원   
그러면 지금 3차 추경으로 하는데 이게 가을 때 거의 다 여름철 장마 수해라 할지 폭염이라 할지 이런 것 때문에 피해 농가들이 신청을 하는 건데, 이 예산 가지고 충분히 공주시 같은 경우는 가능한 액수예요?
○농업정책과장 이철원   
예, 지금 저희가 다 조사해가지고 이번에 예산 계상하는 겁니다.
강현철 위원   
금년도 같은 경우는 얼마 정도……
○농업정책과장 이철원   
인삼 같은 경우가 따로 있고요.
벼멸구 피해 따로 있고 그런 식으로 따로 나눠져 있는데, 재해로 인정되는 부분만 농식품부에서 내려오는 부분만 저희가 하고 있습니다.
강현철 위원   
저희는 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확인해서 피해 보상을 해주고 있는 상태인가요? 어디에서 확인을 해서……
○농업정책과장 이철원   
저희가 그거는 조사를 해가지고 하고 있습니다.
강현철 위원   
직원들이 직접 나가서?
○농업정책과장 이철원   
예.
강현철 위원   
특히나 올해 같은 경우는 뭐 여러 가지……
예.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농업지원팀장 이서복입니다.
농작물 재해 보험료에 대해서 질문을 하신 것 같습니다.
농작물 재해보험은 농협보험을 통해서 가입한 것에 대한 지원하는 내용이거든요.
피해는 나중 문제고요, 농가들이 계절마다 시기마다 다 다르게 보험료를 가입을 하면 가입비의 우리가 95%까지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그 내용입니다.
강현철 위원   
그러면 농협의 각 읍면동에 거의 다 가입을 하는 거예요? 
몇 프로 정도 가입한 상태예요? 확인……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이제 작물마다, 시기마다 다 다르기 때문에요.
예를 들면 감자다 그러면 감자 심기 전에, 심고 나서 이렇게 신청하는 거고요.
벼 같은 경우는 벼를 정식하고서 모판에 논에 심고 나서 가입을 하는 거거든요.
그런 식으로 해서 시기도 다 다르고 전체적으로 취합을 해서 나온 사업비를 가지고 책정해서 이번에 증액한 겁니다.
강현철 위원   
올해 엊그저께 최종 수매하는 장소를 가보니까 벼멸구도 심하게 입은 데는 심하게 입었고 그렇지 않은 데는 드물게……
유구 같은 경우는 최소로 한 8포대밖에 안되는 그런 상황인데, 사곡 같은 경우는 톤백으로 한 250개 이상 그렇게 벼멸구가 많이 먹었더라고요.
공주시 전체로 봤을 때 지역마다 물론 편차는 있겠지만 어느 정도 벼멸구 상황이 그렇게……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벼멸구 피해 벼 공공수매를 월요일날 마쳤는데요.
이것은 농가들이 원하는 것은 전량 다 받았습니다.
받았던 거고요, 선호도에 따라서 지금 많은 곳은 전체적으로 대부분 골고루 분포돼 있는데도 이번에 피해 벼 매입에 들어온 지역은 사곡면하고 정안면이 중점적으로 많이 들어왔고요.
다른 면은 많이 안 들어왔습니다.
강현철 위원   
그리고 지금 뉴스 매스컴에서 보니까 입안을 해서 다른 당에서는 전체 농가들이 벼농사를 심으면 전량 다 수매를 하고자 하는 그런 법안을 지금 제출했는데, 지금 공주시 같은 경우는 RPC하고 자체 수매 벼하고 했을 때 얼마나……
RPC에 들어가는 양이 얼마고 자체 수매량 정도가 얼마 정도……
정부 수매 말고 자체 수매.
소위 얘기해서 남는 양은 없어요?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현재 우리가 배정량은 전량 다 지금 매입을 했고요.
강현철 위원   
정부 수매하고 RPC 수매하고……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RPC하고 전량 다 매입이 완료된 상태입니다.
그리고 개별적으로 지역농협에서 자체 매입을 하는 곳이 한 4군데 정도로……
강현철 위원   
어디어디예요?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정안면하고요.
우성, 의당, 공주농협 동지역 이렇게 해서 4군데는 자체 매입 별도로 또 할 것으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강현철 위원   
그런데 이제 문제는 이게 그렇게 소비……
물론 RPC나 각 정미소에서나 수매해서 제가 알기로는 타 시군보다는 공주시가 월등히 소비가 잘 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이게 사실은 농협에서 잘못하면 올해 같은 경우는 벼 도정수율도 상당히 낮은 걸로 알고 있고 알곡이 잘 여물지 못해서 적자 발생 요인이 없지 않을까.
또 이럼으로써 농가들도 사실은 소득이 예년보다는 좀 적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갖고 있는데, 이게 제가 판단할 때는 사실은 공주는 행복한 지역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닐 것 같아요.
전남이나 경남 같은 데는 매년 수매를 해서 그 양곡을 못 팔고 재고로 남는 데도 금년에 상당히 많이 있다고들 얘기를 하더라고요.
그런데 다행히 공주 같은 경우에는 물벼 수매나 건벼 격리곡을 포함해서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지역이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는 훨씬 낫지 않을까.
하여튼 여러분들이 고생하는 만큼 앞으로도 더 열심히 해서 농가들한테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됐으면 좋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위원장 송영월   
예, 구본길 위원님.
구본길 위원   
수고하십니다, 과장님.
저도 수매 관련해서.
올해 정부 수매가 날짜가 좀 늦게 나왔죠? 2차……
그거 혹시 이 팀장님 아세요?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날짜는 예전보다 한 열흘 가까이 결정이 좀 늦게 됐고요.
구본길 위원   
아니, 그게 왜……
아니, 직원들을 탓하는 게 아니라 항상 보면 왜 그럴까요?
나라에서 예산을 늦게 책정을 해서 그런 건지, 아니면……
왜냐하면 수매를 한다고 하는데 1차로 딱 나온 게 있잖아요.
그래가지고 읍면동에다 다 뿌려가지고 다 조사해서 했어요.
그런데 2차가 벼 수확 한참 하고 있고 RPC로 벼를 다 집어넣은 상태인데 2차가 또 나왔어요. 정부 수매한다고.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그거는요, 작년부터 우리가 감축 협약해서 감축 협약 농가는 농림부에서 개별적으로 배정을 합니다.
그런데 그것이 우리가 이행점검이나 이런 것들의 과정을 다 거치고 최종 확정이 돼야 추가로 배정하기 때문에 작년부터 그렇게 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 기본배정은 정상적으로 되고 있는데 간축협약 농가들 대상이 좀 나중에 되다 보니까 수확하는 중에 또 추가 배정되다 보니까 혼선이 이루어지고 있거든요.
그런 부분은 지금……
구본길 위원   
물론 그럴 수 있어요. 혼선이 빚어질 수도 있고 그런데……
왜냐하면 저희가 RPC에서 가져가는 거는 정부 수매가 아니에요.
물론 정부 수매도 거기서 받죠, 정부의 저기를 받아가지고.
그런데 RPC 수매하는 거는 지금 얼마 정도 쌀값이…… 한 16만 5000원 되려나요?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10월 15일 기준으로 18만 5000원 선 정도……
구본길 위원   
RPG에서 가격이 나왔어요?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RPC 것은 아직 결정이 안 됐고요.
구본길 위원   
그러니까 RPC 것 대략.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정부도 통계……
구본길 위원   
16만 원이나 15만 원, 16만 5000원이나 되겠죠? 
정부 수매는 18만 얼마요?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18만 5000원 선 정도 됩니다.
구본길 위원   
예, 이 얘기를 하는 거예요.
나라에서 이게 빨리 나왔으면 그 벼를 18만 원에 팔 수가 있는 거를 늦게 나와서 다 RPC로 자체 수매 들어갔어요. 벌써 끝났어요.
그런데 나라에서 이게 늦게 내려온 거예요.
나중에는 할 사람이 없는 거예요.
그리고 나라에서 잘못하면 그렇게 얘기하겠죠.
“아이고, 수매량을 많이 내렸는데 할 사람이 없었다”라고 이야기할 수 있는 거죠.
농민들이 쌀 한 가마당 2만 원을 더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날린 거예요.
그래서 이것도 위원님들도……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수매가 가격 결정하는 걸 잠깐 설명을 드리면요.
열흘 단위로 해서 통계청에서 쌀 가격을 조사를 합니다.
그래서 열흘 단위로 해서 12월 25일까지 조사한 걸 가지고 그 이후에 최종 공공비축미 가격이 결정이 되거든요. 그게 최종이라고 보면 되고요.
쉽게 말하면 12월 마지막 주에 공공비축미 가격이 결정이 되다 보니까 그런 상황입니다.
그렇게 좀 이해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구본길 위원   
어쨌든 농민들은 RPC에다가 다 냈는데 정부 수매가 내려왔어. 할 게 없잖아요.
그러면 진작에 얘기가 됐어야 내가 정부 수매를 몇 가마를 하겠다라고 하는데, 지금 그 물량은 그러면 추가로 나온 거는 다 했습니까?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다 끝났습니다, 지난주 월요일 날에.
구본길 위원   
그렇게 되다 보니까 벼 수확을 늦게 한 사람들은 이득을 봤죠.
늦게 한 사람은 나 정부 수매할 게 있으니까 정부 수매라고 해서 본인들은 그럼 2만 원씩 더 받은 거예요.
2~3만 원씩 더 받을 수가 있는 거예요. 미리 한 사람들은 못 받고.
이게 공평해야 되는데 그러다 보니까……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그거는 아니고요.
구본길 위원   
그런 게 있을 것 아니에요.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건조벼나 이런 경우는 그전에 대부분 배정이 다 됐기 때문에 대농가한테 더 주고 그런 건 없습니다.
구본길 위원   
그러니까 1차 못해가지고 2차를 농가마다 다 할 수가 없었잖아요.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2차분은 간축협약 논콩이나 기타 이렇게 협약한 농가들한테 배정한 거기 때문에 일반 농가들한테 나가는 게 아니거든요.
그거는 별 문제는 없다고 봅니다.
구본길 위원   
어쨌든 읍면동에서 계속 조사했잖아요, 매상할 거 있냐고.
그런데 거의 다 없었거든요, 사람들이요.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그런데 어쨌든 일반 농가들한테 나간 거는 어쨌든 상대적으로 적게 나갔기 때문에 좀 불만이 있었을 겁니다.
구본길 위원   
어쨌든 이거를 건의를…… 직원들을 탓하는 게 아니라 이런 게 있으면 미리미리 좀 나와야……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아니, 늦게 나간 건 없습니다.
어쨌든 수매 전에는 다 나갔기 때문에요.
구본길 위원   
1차 배분 말고 2차 배분 말이에요.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2차 배분은 감축협약 농가들만 해당되기 때문에 일반 농가들은 해당이 안 되거든요. 그분들은……
구본길 위원   
그러니까 감축협약 농가들도 미리 좀 얘기를 하라는 얘기지, 나는.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그거는 어쨌든……
구본길 위원   
미리 조사해서 해야지 그것도 왜 늦게 하냐는 얘기죠.
그래서 결국은 감축협약 농가……
아니, 팀장님 제가 말씀을 드릴게요.
내가 감축협약 농가야. 내가 할 수 있어.
그런데 벼를 RPC로 다 냈어. 그래서 없어. 
누가 했겠어요? 대농가들이 내 이름으로 했겠지.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아니, 어쨌든 최종적으로 결정은 늦었지만……
구본길 위원   
그러니까 결정이 늦은 걸 얘기하는 거예요.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협약할 때 정해진 양이 있어요.
구본길 위원   
결정을 늦게 된 거를 제가 말씀을 드리는 거예요.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그게 아니라 협약할 때부터 벼 추가 배정을 하겠다고 한 게 있어서……
구본길 위원   
그런데 그게 틀리잖아요.
배정한다고 해서 내가 많이 한다고 해서 다 된다는 보장이 없는 거죠.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아니, 그거는 거진 그 기준대로 다 했습니다.
구본길 위원   
어쨌든 그거 결정을 빨리 좀 될 수 있게끔 해주셔야 혼선을 안 빚고……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그래서 지금 농림부에서 진행하는 거는 다……
구본길 위원   
산업팀장님이 계속 여기저기 전화하더라고요, 그것 때문에. 없어가지고.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그렇게 이해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구본길 위원   
그리고 한 가지 과장님, 작년도에 농가 경영안정자금하고 타작물 재배 우리가 조례안 통과시킨 거 보건복지부에다가 의뢰를 한다 뭐 이런 얘기가 있었는데 진행 과정이 어떻게 되는지.
○농업정책과장 이철원   
했는데, 지금 재협의가 내려와가지고 전에 의장님하고도 한번 상의를 드렸는데 의장님께서는 다시 한번 그거를 재협의를 다시 올리라고 해가지고 지금 다시 올린 상태입니다.
구본길 위원   
재협의 내용을 좀 우리가 알 수 있나요?
○농업정책과장 이철원   
이중적이라는 부분입니다.
농어민수당이나 이런 게 지급되는데 이거를 또 지급하게 되면 중복성이 있다.
그러니까 거기서는 어떻게 보면 안 했으면 좋겠다 이런 저기로……
구본길 위원   
재협의가 나왔다며요. 안 했으면 좋겠다……
○농업정책과장 이철원   
재협의라는 뜻이 그겁니다.
다른 걸로 수정을 해서 다시 협의해라 이건데, 저희가 사실상은 농어민수당을 철폐하든 뭘 하든 경영안정자금을 주든 그런 식으로 가야 되는데……
구본길 위원   
저는 경영안정자금은 그럴 수 있다고 치고, 나라에서 타작물 재배를 계속해서 이야기하고 있어서 공주시에서 타작물……
이거 한 가지는 타작물은 더 할 수 있는 거 아니에요?
○농업정책과장 이철원   
지금 타작물……
구본길 위원   
그거는 나라에 역행하는 게 아니잖아요, 사실상은요.
○농업정책과장 이철원   
(팀장을 향해)지금 타작물 지원 조례……
구본길 위원   
타작물 하고 있잖아요, 나라에서요.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전략작물 직불금으로……
구본길 위원   
공주시에서 타작물을 더 주겠다라고 얘기해서 이거를 이거라도 진행할 수 있는 거 아니냐는 얘기지.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지금 어쨌든 금년도에는……
구본길 위원   
경영안정자금이야 뭐 벼니까 그렇다고 치더라도……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금년도에는 작년보다는 많이 늘었고요.
지금 분위기로 봐서는 내년도에는 농가들이 많이 또 전환할 수 있는 상황인 것 같습니다.
구본길 위원   
그러니까요. 타작물을 지원해서 전환할 때……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현재 제도로 해도 어느 정도는 많이 전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거든요.
구본길 위원   
현재 제도로도요?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예, 전략작물이나 이런 제도를 통해서……
구본길 위원   
많이 좀 할 수 있게끔 더 어쨌든 탄력을 받으려면 공주시에서 타작물 지원 조례도 통과도 됐고 하니까 예산이 얼마나 소요되는지는 한번 파악해서 저한테 좀 가르쳐 주시고요, 팀장님.
타작물을 할 경우에 예산 양이 얼마나 예산이 소요되는지 한번 파악 좀 한번 해주시고요.
얼마나 할지는 모르겠죠, 사실상은요.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농가들이 이제 선택하는 거기 때문에요.
벼 재배농가들이 이제 선택해서……
구본길 위원   
선택을 빨리 하게끔 우리가 도와주자는 얘기죠.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그래서 만약에 저기 한다고 하면 현재는 전략작물직불제 위주로 지금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라 그 부분이 있고요.
금년도에 수매를 하면서 농가들이 많이 느낀 부분이 그거예요.
구본길 위원   
팀장님, 왜 그런 생각을 하냐면요.
벼 농사 지어가지고 16만 원도 못 받을 바에는 타작물로 가는 게 낫겠다라고 생각해서 지금 가는 거예요.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그렇습니다.
구본길 위원   
그러니까 타작물 이거를……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그래서 지금 현 제도로도 충분히 지금 분위기가 이렇게 가고 있다는 말씀을 드리는 거죠.
구본길 위원   
어쩔 수 없이 가는 거라니까요.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왜냐하면……
구본길 위원   
현 제도가 좋아서 가는 게 아니라 쌀값이 워낙 형편이 없고 올해처럼 이렇게 기후 이상이 있을 때니까 벼 농사 지어가지고 마이너스가 난다니까요? 
그러니까 가려고 하는 거예요.
어쩔 수 없이 가는 것하고 그 사람들이 타작물 지원을 많이 해줘서 가는 게 아니라니까요.
그러니까 그거를 우리가 더 지원을 해줘서 그쪽으로 확 전환할 수 있게끔 하는 것도 저는 좋다고 생각합니다.
○농업정책팀장 이서복   
(공무원석에서)어쨌든 적극적으로 홍보를 해서 현 제도 범위 내에서는 최대한 많이 참여할 수 있게 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구본길 위원   
홍보는 지금 다 알고 있는데요, 뭐.
공주시에서 더 준다고 홍보를 해야지.
어쨌든 그것 좀 꼭 좀 고려해서 이 두 가지 벼 경영안정자금은 만약에 그렇게 했다면 타작물이라도 공주시에서 나라의 사업에 역행하는 사업이 아니니까 이거는 공주시만 좀 더 지원해줄 수 있다고 그러면 지금 벼농사 지어가지고 어렵다는 거 뻔히 아니까, 빨리 더 갈 수 있는 저기가 되니까 이거를 꼭 좀 과장님 고려해서 내년에는 꼭 시행이 될 수 있게끔 좀 해주세요.
○농업정책과장 이철원   
예, 고려하겠습니다.
구본길 위원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송영월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더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농업정책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농업정책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농식품유통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농식품유통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식품유통과장 안영희   
농식품유통과장 안영희입니다.
농식품유통과 2024년 제3회 추가경정예산 세출 예산 설명드리겠습니다.
415쪽 ’24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은 기정액 108억 4400만 원에서 5886만 6000원 감소한 107억 8500만 원으로, 시비 집행잔액과 도 교부결정 변경에 따른 감액입니다.
이어서 사업설명서 말씀드리겠습니다.
418쪽 중간, 사업설명서 1쪽 학교 무상급식 식품비 지원입니다.
학생 수를 반영한 도의 최종 교부결정에 따른 조정으로 특수학교와 초ㆍ중ㆍ고등학교 총 5937만 6000원 감액하였습니다.
419쪽 중간, 사업설명서 2쪽에서 3쪽입니다.
어린이집 친환경 식재료 현물 지원과 친환경 급식 식재료 현물 차액 지원도 학생 수를 반영한 도의 최종 교부결정에 따른 조정으로 총 3107만 6000원 감액하였습니다.
다음 419쪽 하단에서 420쪽 상단까지, 사업설명서 5쪽에서 8쪽까지입니다.
학교급식 운영 활성화 사업은 충청남도 학교급식 역량강화 평가 우수기관 선정 포상금으로 확보한 도비 3000만 원으로, 학교급식 관계자 교육 등 협력체계 구축과 학교급식 출하 농산물 순회수집 지원으로 내년까지 추진하고자 편성하였습니다.
이상 농식품유통과 말씀드렸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농식품유통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농식품유통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축산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축산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축산과장 이태주   
축산과장 이태주입니다.
축산과 소관 ’24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세출 예산서 423쪽입니다.
축산과 예산 규모는 기정액 203억 4565만 4000원에서 5억 2025만 4000원을 증액하여 208억 6590만 8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이어서 세출 예산 사업명세서이고 주요 단위사업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예산서 426쪽 중간, 사업설명서 1페이지 301-14 기타보상금 축사 환경개선 지원입니다.
본 사업은 축산농가 환경 개선을 하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사업으로, 사업비 5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예산서 426쪽 중간, 사업설명서 2페이지 302-01 국내여비 FTA 피해보전 직불금 행정비입니다.
본 사업은 소 사육농가 FTA 피해보전직불금 사업 추진에 따른 민원 처리와 현장조사에 따른 행정경비로서, 국비 6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예산서 427쪽 하단, 사업설명서 2페이지 402-02 민간자본사업보조 사료배합기 지원사업입니다.
본 사업은 사료배합기 등을 지원하여 농가 생산비를 절감하는 사업으로, 기정액 7500만 원에서 1150만 원을 증액하여 8650만 원으로 사업비를 편성하였습니다.
예산서 428쪽 상단, 사업설명서 6페이지 301-14 기타보상금 퇴액비ㆍ살포비 지원사업입니다.
본 사업은 부숙된 가축분 퇴액비 농경지 환원으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친환경 농업을 육성하는 사업으로, 국비 증액에 따라 기정액 1억 540만 원에서 1억 6360만 원을 증액한 2억 69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예산서 429쪽 상단과 중간, 사업설명서 9페이지, 10페이지 301-14 기타보상금 럼피스킨 및 구제역 예방접종 시술비 지원입니다.
본 사업은 럼피스킨병과 구제역 예방접종이 어려운 고령 및 장애인 등 사회적 배려 계층에 대한 접종 지원 예산으로, 국비 증액에 따라 각각 3000만 원을 증액하여 럼피스킨 백신접종 시술비 1억 3350만 원과 구제역 예방접종 시술비 4억 2000만 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예산서 429쪽 하단, 사업설명서 11페이지, 12페이지 301-14 기타보상금 소 브루셀라병 채혈보정비 지원과 소 브루셀라 채혈보정비 시비 지원입니다.
본 사업은 제2종 가축전염병인 소 브루셀라병을 예방하고자 하는 사업으로, 국비 증액에 따라 1500만 원을 증액하여 2억 400만 원으로 편성하고, 또한 국도비 보조사업 소진에 따른 시비분 6000만 원을 추가 편성하였습니다.
예산서 430쪽 중간, 사업설명서 14페이지 402-02 민간자본사업보조 동물복지 컨설팅 지원사업입니다.
본 사업은 동물복지 농장 인증을 위한 시설 유지 및 컨설팅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21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예산서 430쪽 하단, 사업설명서 15~16페이지 401-01 시설비, 401-02 감리비 반려동물 인프라 구축사업입니다.
본 사업은 공주시 동물보호센터를 건립하는 사업으로, 감리비 예산 필요에 따라 401-01 시설비 기정액 9억 7000만 원에서 5000만 원을 감액하여 401-02 감리비 5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31쪽 국도비 반환금입니다.
802-02 국비 보조금 반환금으로 국비 12건 기정액 8471만 1000원에서 2361만 5000원을 증액하여 이자 포함 1억 832만 6000원, 802-02 시도비 보조금 반환금으로 도비 41건 기정액 2127만 원에서 1억 2571만 9000원을 증액하여 이자 포함 1억 4698만 9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축산과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축산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축산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농촌진흥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농촌진흥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촌진흥과장 오병규   
농촌진흥과장 오병규입니다.
2024년도 농촌진흥과 소관 제3회 추경 예산안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437쪽입니다.
기정 예산액 29억 6481만 7000원보다 30억 9750만 원이 증액된 60억 6231만 7000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기정 예산 대비 증액된 사업과 국비 시범사업에 따른 시비를 부담해야 하는 사업에 대하여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439쪽입니다.
하단, 사업설명서 1페이지 사업명 위해요인 제어 전통장 제조발효 관리기술 시범 402-02 민간자본사업보조 전통장의 제조 공정별 오염원 관리기술 적용으로 전통식품 품질유지 및 위생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범사업으로, 국비 추가 지원에 따른 시비 3500만 원이 증액된 7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440쪽입니다.
상단, 사업설명서 3페이지 사업명 공주 미식문화공간 조성사업 부지 매입 401-01 시설비입니다.
지역 농산물 기반의 음식문화 미래가치 창출을 목표로 공주시 인구 감소지역 대응 기본계획 및 2024년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 일환으로 추진되는 사업으로, 공주 미식문화공간 조성 부지 매입을 위하여 30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공주 미식 문화공간 조성사업은 음식과 문화ㆍ농업ㆍ관광 등 공주만의 특화된 자원이 어우러진 복합문화공간으로 지속 가능한 미식문화 공간으로 조성하여 공주를 미래 성장동력인 미식 문화관광산업의 중심지로 육성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추진되는 사업입니다.
꼭 반영하여 주실 것을 협조 당부드리겠습니다.
이상으로 농촌진흥과 소관 2024년 제3회 추경 예산안에 대하여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농촌진흥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농촌진흥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기술보급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기술보급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술보급과장 김희영   
기술보급과장 김희영입니다.
세출 예산서 443페이지 기술보급과 제3회 추경 예산안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예산 편성 현황으로, 총 예산 규모는 54억 1432만 원 규모로 기정액 54억 3107만 원보다 1675만 원이 감액된 규모입니다.
감액된 예산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예산서 445쪽 중간부터 하단까지이며, 사업설명서는 1쪽부터 3쪽까지입니다.
스마트 농업 통합관제실 운영과 207-03 시험연구비 1000만 원과 그리고 과학영농 실증 시험포 운영 외 1건으로 101-04 기간제근로자 등 보수 675만 원에 대해서 사업 완료 후 집행잔액에 대해서 반납 예산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2024년도 기술보급과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설명드렸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구본길 위원님.
구본길 위원   
과장님, 수고하십니다.
뭐 하나 부탁 말씀드리려고요.
○기술보급과장 김희영   
예.
구본길 위원   
시범사업 많이 하시잖아요, 기술보급과에서요.
한 가지, 우리 하우스농가들을 제가 계속해서 방문하고 그 사람들하고 이야기하다 보니까 하우스농가들이 지금 연료를 때고 있거든요.
○기술보급과장 김희영   
예.
구본길 위원   
우성에 오이, 유구에 고추 이렇게 연료를 때고 있는데 그분들의 제일 고민이 저 남부지방하고……
남부지방은 거기도 역시 연료를 땔 텐데 우리보다는 연료비가 덜 들어가겠죠.
그런데 지금 농산물 경매가를 그 사람들이 따져보는데 이 시범사업을 그거를 꼭 하나 말씀드리고 싶은 게 뭐냐면, 남부지방하고 경쟁력이 있으려면 연료비를 덜 들이고 농산물이 계속해서 출하가 될 수 있게끔 농작물이 커야 된다 이거죠.
지금 그분들이 고민하는 거는 ‘연료를 그만 때고 오이를 자르고 이제 그만할까? 농사를 지금 접을까?’ 아니면 ‘이거를 연료를 계속 기름을 때면서 가야 되나’ 이런 고민의 딜레마에 모든 농가들이 지금 빠져 있거든요.
왜냐하면 지금 연료를 많이 때면 기름값은 많이 나오는데 오이가 생산되는 게 얼마 없으면 그게 기름값으로 충당이 안되면 사실상 굳이 연료를 땔 필요가 없잖아요.
그래서 우리가 하우스시설에 대한 어떻게 하면 남부지방하고 해서 경쟁력이 생겨서 조금 더……
왜냐면 제가 봤을 때도 앞으로 15일 후에나 한 달 정도 후에는 농산물 값이 되게 비쌀 거거든요.
그거는 누구나 알 수 있는 거잖아요.
그러면 우리 시에서 지열 보일러라든지 여러 가지 난방이라는 기술들이 좀 있어요.
이런 기술들을 시범사업으로 해서 한 농가가 됐든 어떤 그런 시범사업을 통해서 우리가 해보는 게 어떻겠나.
그거를 해봐야만이 이분들이……
지금 당장 이런 분들 보고, 농가들 보고 이런 거를 하라고 하면 농가들은 사실상 어렵잖아요.
마이너스 나면서 계속해서 일을 추진하기가 어려운 거니까 우리가 저 아랫지방하고의 농산물 경쟁에서 어떻게 하면 우리 공주시가 농민들한테 수익을 남길 수 있는 그런 여지가 될까를 해서 연료비를 어떻게 하면 낮출 수 있나를 시범사업으로 꼭 내년도에 책정을 해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기술보급과장 김희영   
지금 저희 2025년도 예산안을 읽어보시고 말씀하신 것 같습니다, 위원님께서.
그래서 그 부분을 저희 현장에서 딸기도 마찬가지고 오이도 마찬가지인데, 그런 부분들을 농가들이 많이 요구도가 있어서 시설 환경에 관련된 고효율적인 에너지 최적화에 관련된 시범사업비를 내년도 예산안에 시범적으로 편성을 해보았습니다.
그 부분에 대해서 다시 적극적인 지원을 부탁드리겠습니다.
구본길 위원   
그 방법이 몇 가지가 있을 거예요.
○기술보급과장 김희영   
예, 그렇습니다.
구본길 위원   
지열을 이용하는 방법하고 지열에다가 히트펌프를 설치해서 하는 방법하고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런 거를 하나, 하나, 하나 시범사업을 하면 더더욱 좋겠죠.
그렇지만 어쨌든 농가들이 지금 고민이 많아요.
연료를 계속 때가면서 생산품을 생산해내야 되느냐, 아니면 올해 이제 이걸로 농사 끝 해서 싹 접느냐 그런 고민들이 있으니까 그거를 조금 더 늦게 연장시키는 의미도 있으면……
그런데 연장시키면 좋은 게 뭐냐면 지금 농가들이 일을 접으면 할 게 없잖아요, 사실상은요. 이제 겨울로 접어들어가니까요.
그래서 그분들의 소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좀 줄 수 있는 게 공주시에서 해야 될 일이 아닌가 저는 생각돼서 과장님한테 말씀드린 겁니다.
○기술보급과장 김희영   
예, 내년도 예산에 편성하였으니까요.
자세히 설명드리기로 하고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구본길 위원   
알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더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기술보급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기술보급과장 수고하셨습니다.
이상으로 농업기술센터 소관 부서에 대한 심사를 마쳤습니다.
다음은 보건소 및 사업소 순서로, 보건정책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보건정책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보건정책과장 임승수   
보건정책과장 임승수입니다.
보건정책과 소관 2024년 3회 추경 예산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449쪽입니다.
보건정책과 추경 예산 규모는 기정예산보다 1억 25만 4000원이 증액된 60억 5629만 원이 되겠습니다.
세부사업을 설명드리겠습니다.
451쪽 중단에 307-02 민간경상사업보조로 편성한 달빛어린이병원 운영 지원사업입니다.
국비 50%, 도비 15%, 시비 35%를 매칭한 9373만 8000원을 편성했습니다.
달빛어린이병원은 2023년도에 공주시의회의 5분발언을 통해서 공주시에 소아 전문 응급의료센터가 필요하다는 건의사항을 추진하면서 저희가 올해 5월 달에 신관동에 소재한 엔젤소아청소년과의원이 달빛어린이병원으로 지정이 됐습니다.
평일은 8시부터 23시까지 운영을 하고 토요일ㆍ일요일ㆍ공휴일은 18시까지 이렇게 연중무휴로 운영하는 병원이 되겠습니다.
이 병원의 운영비로 예산을 편성했습니다.
451쪽부터 452쪽 국고보조금 반환금 및 시도비 보조금 반환금은 유인물로 설명을 갈음하겠습니다.
이상 설명드렸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보건정책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보건정책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건강관리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건강관리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건강관리과장 김만중   
건강관리과장 김만중입니다.
건강관리과 소관 2024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세출 예산서 493쪽입니다.
건강관리과 추가경정예산 규모는 당초 기정액 64억 7190만 3000원 대비 2.19% 증가한 1억 4510만 2000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주요 증액 사유는 국도비 반환액입니다.
세출 예산 사업명세서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457쪽 중간, 지역사회 중심 금연 지원 서비스는 효율적인 예산 운영을 위하여 예산 증액 없이 국도비 사업 간 통계목을 조정하였습니다.
금연지도원 일반운영비와 니코틴 보조제 구입비ㆍ의료비 및 회복비를 감액하고 금연클리닉 운영 물품과 금연구역 표지판 정비, 흡연예방구역 강사료 등 사무관리비를 증액 조정하였습니다.
459쪽 중간, 보호자 없는 병원사업 증액 5000만 원은 11월 이후 취약계층 60여 명에 대한 부족분으로 도비 보조금 증액에 따라 시비 70% 예산을 반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건강관리과 소관 제3회 추경 예산안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건강관리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건강관리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치매정신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치매정신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치매정신과장 이미자   
치매정신과장 이미자입니다.
치매정신과 ’24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세출 예산서 465쪽입니다.
치매정신과 추가경정예산 규모는 기정액 62억 3413만 3000원 대비 2억 862만 6000원 증가한 64억 4275만 9000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주로 국도비 보조금 변경분과 통계목 간 조정 반영되었음을 보고드립니다.
예산서 467쪽 중간, 사업설명서 1쪽 307-10 사회복지시설 법정운영비보조 정신요양시설 운영 지원입니다.
정신요양시설 공주 베델정신요양원 입소자 요양에 필요한 냉난방기와 세탁기, 건조기 등 쾌적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국도비 보조금 변경에 따라 5314만 2000원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같은 쪽 하단, 사업설명서 2쪽 307-10 사회복지시설 법정운영비보조 정신재활시설 운영 지원입니다.
도비 보조금 변경에 따라 정신재활시설 도래샘 운영비로 493만 원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같은 쪽 아래, 사업설명서 3쪽 307-10 사회복지시설 법정운영비보조 정신증진시설 종사자 처우개선비 지원입니다.
도비 보조금 변경에 따라 정신요양시설 33명, 정신재활시설 2명 종사자 처우개선비를 위해 200만 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예산서 468쪽, 사업설명서 4쪽 307-05 민간위탁금 정신건강복지센터 인력 확충입니다.
정신건강복지센터 인력 지원 도비 보조금 변경에 따라 인건비 2207만 2000원을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같은 쪽 아래, 사업설명서 6쪽 307-05 민간위탁금 통합 정신건강증진사업 지원입니다.
정신질환 인식 개선 및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사업 추진을 위한 국도비 보조금 변경에 따라 841만 4000원 증액 계상하였습니다.
469쪽, 사업설명서 7쪽 201-01 사무관리비 치매안심센터 운영 지원입니다.
공무직 퇴직으로 발생한 인력운영비 집행잔액분 4674만 1000원을 인지강화교실 교구 및 홍보물 구입을 위한 사무관리비로 통계목을 조정 계상하였습니다.
같은 쪽 아래, 사업설명서 8쪽 301-01 사회보장적 수혜금 치매안심센터 운영 지원입니다.
치매안심센터 협력의사수당 기타보상금 750만 원을 치매 조기검진 추진을 위한 사업비 사회보장적수혜금으로 통계목을 조정하여 계상하였습니다.
470쪽, 사업설명서 9쪽 308-13 공기관 등에 대한 경상적 위탁사업비 치매 치료 관리비 지원입니다.
중위소득 120% 이하 치매환자에게 월 3만 원 이내 치료비 지원하는 사업으로 ’24년 부족분 도비 반영에 따라 1억 2328만 8000원 증액 요청하였습니다.
같은 쪽 중간, 사업설명서 11쪽 201-03 행사운영비 재가 치매노인 주간보호소 운영 지원입니다.
치매 주간보호소 프로그램 확대 운영을 위해 사무관리비 751만 원을 행사운영비로 통계목을 조정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치매정신과 소관 제3회 추가경정안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치매정신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치매정신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감염병관리과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감염병관리과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염병관리과장 박경운   
감염병관리과장 박경운입니다.
감염병관리과 소관 2024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475쪽입니다.
기정액보다 1792만 1000원 증액된 36억 9095만 4000원으로 제3회 추경을 편성하였습니다.
세부사업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방역소독 사업 종류에 따른 남은 잔액 삭감 및 국도비 보조금 변경 건은 서면으로 보고드리고, 신규 편성된 사업 1건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447쪽, 결핵진단 검사 사업 307-01 의료 및 회복비에 2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이 사업은 국도비 보조사업으로 추진 중이나, 예산 부족으로 인하여 추가 진단 검사비를 시비로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감염병관리과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감염병관리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시설관리사업소 소관 예산안을 심사하겠습니다.
시설관리사업소장은 예산안을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시설관리사업소장 전병윤   
시설관리사업소장 전병윤입니다.
시설관리사업소 2024년도 3회 추경 예산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483쪽입니다.
2회 추경 예산 규모는 기정액 대비해서 6839만 1000원이 증액된 197억 6853만 1000원으로 편성했습니다.
주로 올해 사업 예산을 집행하고 남은 잔액을 삭감하는 안으로 편성을 했습니다.
484쪽입니다.
하단에 공공시설 공공요금 2400만 원을 증액 편성했고, 486쪽 조직개편에 따른 사무용품 구입 1086만 원을 반영했으며, 국도비 보조금 반환금 2억 4514만 5000원을 계상했습니다.
이상으로 시설관리사업소 2024년 3회 추경 예산안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시설관리사업소 소관 심사를 마치겠습니다.
시설관리사업소장 수고하셨습니다.
이상으로 보건소 및 사업소 소관 부서에 대한 심사를 끝으로 2024년도 제3회……
김권한 위원   
의사진행발언 있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예.
김권한 위원   
의회는 안 하는 건가요, 이번에도?
○의사팀장 박의경   
(공무원석에서)의원간담회 때 혹시……
김권한 위원   
아니요, 설명 못 들었어요.
의회 그냥 한다고 허락되시면 누가 답변하실 분 있으시면 제가 질문만 하나 드리겠습니다.
누가 답변하실 분 계신가요? 
조기에 대해서는 설명 한번 해주셔야 될 것 같아요.
○위원장 송영월   
의정팀장 오시는 중이니까……
김권한 위원   
조기에 대해서 설명해 주시는 김에 우리 지난해 맞춘 체육복은 박물관에 기증을 하든지 기탁을 하든지 해야지 그거 뭐 어떻게 하려고 그런대요, 그거? 
못 쓸 것 어디다 기증을 하셔요. 어디 이디오피아나 이런 데에다가. 
뒀다가 뭐해, 그거?
그것도 답변 좀 해주세요.
○위원장 송영월   
예, 의정팀장님이……
김권한 위원   
근조기 사업에 대해서 설명 좀 필요할 것 같아요.
○의정팀장 박충만   
(공무원석에서)근조기는 기존에 저희가 바깥에 놓는 큰 기를 설치를 했었습니다.
그래서 그거는 공주시 관내에 있는 장례식장에서 근조기함에 비치를 해놓고 저희가 비치할 사유가 발생했을 때 설치를 했었는데, 여러 가지 번거로움이 좀 있어가지고 이번에는 작은 사이즈로 공주시 관내에 있는 장례식장 각 빈소마다 상시 그냥 안에 근조기를 설치해 놓아서 시민들이 장례를 치를 때 저희가 별도로 직원이 가서 설치한다든지 이런 번거로움 없이 조그마한 작은 사이즈로 해서 전 빈소마다 다 설치를 하는 그런 사안입니다.
김권한 위원   
위원님들은 그게 필요하다고 보세요?
○위원장 송영월   
아니, 호수마다 할 게 아니라 그 장례식장에……
김권한 위원   
누구 장례식장이든 각 방마다 놓고서 그냥 한다는 얘기인데, 지금 제가 알기로는 비싸진 않아요.
하나에 20만 원씩 근조기 한다는 건데……
○의정팀장 박충만   
참고로 공주시장 근조기하고 국회의원 근조기는 빈소마다 다 비치가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공주시의회로 해가지고 전체 빈소에 저희도 그런……
김권한 위원   
아니, 그게 그냥 격식을 다 갖춰서 표현하면 그 조기가 망자의 한을 얼마나, 유족들의 아픔을 얼마나 달랠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굉장히 형식적일 테고 그게……
제가 그 말씀 드리잖아요. 어떤 사업을 하면 누가 만족할까를 따져보자고요.
제가 볼 때 제가 유족이라면 늘 다 있는 공주시의회 조기 만족하지 않을 것 같고.
그렇다면 우리가 의원들이 가서 문상할 때 ‘의회 조기가 있구나’라고 해서 ‘의회가 이 정도 역할을 다했다’라고 생각할 것 같지도 않고.
굳이 뭘 이거를 할까 싶어서요.
그게 사실은 그냥 뭐 이게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별로 관심이 안 가거든요.
저희도 가끔 가서 보면 화환이 들어오면 화환이 ‘누구누구 화환 들어왔나, 앞에 있느냐’ 이렇게 정도는 보고 들어가는데 ‘누구 근조기가 있나’는 사실은 뭐 크게 안 보는 편이라.
제 의견은 그렇습니다.
구본길 위원   
(마이크꺼짐)저는 꼭 필요하다고 봅니다.
김권한 위원   
아, 그래요?
○위원장 송영월   
필요하다고 보세요? 그러면……
구본길 위원   
(마이크꺼짐)왜냐하면 공주시의회라고 했으니까 이게 누구 이름을 공주시의회……
아니, 심지어 도시 가니까 의장 이름을 적어야 돼. 
그러니까 그거는 그 의장 그만두면 버린다는 얘기야. 다른 의장이 되면.
사실상 그렇게까지도 하는데, 제가 봤을 때는.
그렇게까지 하는데 ‘공주시의회’ 하면 어쨌든 우리 12명 의원님들이 가든 안 가든 그 사람들이 걸고 싶으면 걸 테고, 안 걸고 싶으면 그냥 거기다 놔둘 테니까.
김권한 위원   
의무적으로 상갓집에서 직원들이 그냥 누가 돌아가셨다 하면 의무적으로 그냥 앞에다 배치를 해놓을 거예요.
구본길 위원   
(마이크꺼짐)배치해 놓겠죠.
그런데 상주 측 입장에서 이거 아니다 싶으면 안 걸 것 아니에요.
그러니까 그거를 해놓으면 어쨌든 10년, 20년은 쓸 것 아니에요.
저희 의원이 아니더라도 차기 다음 의원이라도 그냥 갔을 때 그런 게 있으면 우리 의원들도 ‘공주시의회에서 이렇게도 하는구나’라고 좀 마음의 위안을 하지 않을까요?
저는 그거를 봤어요, 대도시에 가서.
천안시의회 의장 이름을 박았다니까? 
2년 쓰고 그냥 그거는 다 폐기처분 되는 것 아니냐고. 
그러니까 그거는 문제가 있을 것 같고, 공주시의회로는 하나 지금 준비해 놓으면 한 10년은 가지 않을까요?
○위원장 송영월   
그런데 그거를 방 호호마다……
강현철 위원   
(마이크꺼짐)그런데 제가 볼 때는 이런 겉치레 하지 마요.
직접 의원들이 가서 조문해야 되는 것이 원칙이지 무슨 근조기 세워놓고 공주시의원 이거는 저는 내 개인적인 생각에서는 좀 겉치레 같은 생각도 들어요.
○전문위원 이종만   
(전문위원석에서)박 팀장님, 지난번 간담회 때 한번 설명드린 거야?
○위원장 송영월   
아니에요, 안 드렸어요. 처음이에요.
아니, 이거를 각 장례식장마다 장례식장 하나에 하나를 한다면 모를까.
그럼 공주시민 누구나 우리하고 관계가 있든 없든 상을 당하면 무조건 놓는다는 거 아니에요?
임규연 위원   
(마이크꺼짐)아니지, 본인이 놓고 싶으면 놓고……
○위원장 송영월   
누가 놓고 싶으면요?
김권한 위원   
아니에요. 무조건 놓아요.
○위원장 송영월   
무조건 놓는다는 거지, 공주시민. 우리하고……
○의정팀장 박충만   
지금 말씀하신 것처럼 빈소에 설치를 하게 되면 아까 구본길 위원님 말씀하신 것처럼 상주가 굳이 필요 없다 하면 치우게 되는 거고요.
그렇지 않으면 대부분 상주들이 공주시민들이고 그렇기 때문에……
지금 공주시장하고 국회의원도 그런 형태로 운영을 하고 있고요.
이게 저희가 큰 기를 하다 보니까 그거는 근조기함이 밖에 있어요.
그래서 휴일이라든지 이런 때 누가 거기 설치하러 안 가면 근조기를 설치할 수가 없습니다.
저희 직원들이 휴일에 출근을 해서 별도로 그 장례식장에 가서 근조기를 설치하고 와야 되는 이렇게 운영을 하다 보니까 사실 운영에 어려움도 좀 있는 측면도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 효율적인 측면도 있고 해서 추진하려는 사항입니다.
○위원장 송영월   
알겠습니다.
김권한 위원   
알겠습니다. 
체육복은 어떻게 할 거예요? 
왜 안 되는지 정확하게……
그게 우리가 구매할 때 비품으로 산 거예요, 시설로 사서 그런 거예요?
○의정팀장 박충만   
사실은 이 자리에서 말씀드리기가 좀 그렇기는 한데, 원래 피복비는 예산으로 맞출 수가 없습니다.
김권한 위원   
비품으로 사서 전시용으로 산 거예요, 그러면?
○의정팀장 박충만   
그래서 근무복 형태로 저희가 의회에 행사가 있다든지 민방위복처럼 그런 형태로 구입을……
김권한 위원   
그래서 그거를 민방위복 형태도 괜찮으니 일단 그럼 의원들 방에 갖다 놓으시고 우리가 현장을 방문하거나 할 때 입으면 되잖아요.
그런데 지금 그거 자체가 막혀 있잖아요.
○의정팀장 박충만   
그거는 그러면 의원님들 그렇게 원하시는……
김권한 위원   
그럼 당연히 그렇게 해야죠.
○의정팀장 박충만   
그렇게 운영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김권한 위원   
알겠습니다.
○의정팀장 박충만   
그런데 이제 그게 외부에 사적인 용도로 밖에 나가서 시민들이 봤을 때는 저희 예산으로 피복을 맞춘 걸로 오해를 살 수가 있어서 그 부분은 의원님들이 조금 신중하게 착용을 해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김권한 위원   
경계가 사실은 애매한데, 예를 들어서 지난 임기에는 민방위복을 사복처럼 입고 다니는 분들이 계셨는데 그분한테 “왜 당신은 민방위복을 사복으로 입냐, 개인적으로 입느냐”고 하시는 표현이 한 번도 없었어요.
그런데 의원들이 당연히 그거를 뭐 옷이 없어가지고 체육복을 무슨 사복처럼 입고 다니실 일은 없는데, 예를 들어서 체육행사에 가거나 할 때는 자연스럽게……
김장 할 때도 우리가 체육복을 입고 가면 사복처럼 입는 게 아니잖아요.
아니에요? 다시 답변…… 아닌 것……
답변 잘못하신 것 같은데?
○의정팀장 박충만   
아닙니다.
예산으로 피복은 맞출 수가 없고 지금 말씀하신 것처럼 시민들이 오해를 사지 않게, 그러니까 저희가 그때 행사라든지 지금 말씀하신 그런 쪽으로 공식적인 부분에서 사용하시면……
김권한 위원   
그 공식적인 부분이 어디까지냐는 거죠.
자, 우리가 김장 때 입고 갈 수 있어요, 없어요? 
의원들이 전부 다 12명이 같이 움직일 때만 옷을 입어야 된다는 거예요? 
아니면 개별적으로 우리가 체육대회에 가거나 축구대회 격려를 가거나 그때도 못 입는다는 거예요?
○의정팀장 박충만   
그러니까 그런 쪽으로 활용하시면 가능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예를 들어서 그거를 개인적으로 운동을 할 때 입는다든지 어디 사적으로 개인적으로 내가 누구 만나는데 가서 입는다든지 하면 그거는 충분히 오해를 살 수 있고 예산의 취지에 맞지 않는 거기 때문에 그런 부분은 주의해 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김권한 위원   
예, 알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이상으로 보건소 및……
○의장 임달희   
위원장님, 저도 한말씀 드려도 될까요?
○위원장 송영월   
예, 의장님 말씀하시기 바랍니다.
○의장 임달희   
하여튼 고생 많으십니다.
저 좀 전에 들어와서 예산 심의하는 데 보는데, 이 공주시의회 근조기 제작하는 거를 잠깐 한번 말씀드리면 사실 이게 제가 한번 이거는 만들었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에 예산을 올린 거거든요.
그런데 이게 아까도 구본길 위원님께서 말씀을 하시는 것 같던데, 다른 의회에 보면 예를 들어 ‘의장 임달희’ 이렇게 해서 근조기를 막 다 갖다 놓아요.
그런데 그거는 제가 생각해도 2년밖에 안 쓰는데 그 큰돈을 투자를 해서 그렇게 하는 거는 안 될 것 같고.
이 공주시의회 것 근조기를 만드는 거는 각 방마다 다 조그맣게 만들어서 아예 설치를 해놓는 건데, 이거를 만약에 돈이 너무 많이 들어가서 몇 개만 한다고 하면 누가 가서 설치를 해야 되는데 설치할 사람이 없어서 그냥 작은 거를 그 방마다 다 넣어놓는 거거든요.
그런데 그게 왜 넣어놓느냐면, 어쨌든 우리 공주시의회가 우리 시민들이 볼 때는 어떤 사람들은 다 대부분이 “공주시의회 의원들이 뭐 하는 거냐”라고 많이들 그런 얘기를 많이 하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뭐를 하더라도 홍보를 많이 신경을 쓰고 하는 건데, 이것도 어떻게 보면 홍보라고 생각을 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지금 일반인들은 내가 만약에 의원을 안다고 하면 그 의원한테 부탁해서 “우리 공주시의회에서도 근조기 좀 갖다 놓을 수 없어?”라고 부탁하는 사람들이 많아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우리 공주시의회의 홍보 차원이나 아니면 우리 공주시의회…… 
만약에 구본길 의원님이나 강현철 의원님이나 “이분들이 이 근조기를 여기다 갖다놓은 거야”라고 그렇게 지인들이 좋아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제 생각에는 그런 것 때문에 하자고 한 건데요.
하여튼 잘 판단 부탁드리겠습니다.
○위원장 송영월   
이상으로 보건소 및 사업소 소관 부서에 대한 심사를 끝으로 2024년도 제3회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에 대한 질의답변을 모두 마쳤습니다.
질의 종결을 선포합니다.
다음은 2024년도 제3회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에 대한 계수조정을 거쳐 의결토록 하겠습니다.
위원님들께 계수조정 진행 절차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위원님들께서는 배부해드린 개인별 삭감요구서를 작성하여 오후 4시까지 의사팀에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삭감요구서를 제출하시면 의사팀 직원들이 삭감요구서 집계표를 작성하여 위원님들께 배부해드릴 예정입니다.
위원님들께서는 배부해드린 삭감요구서 집계표에 항목별로 원안, 전액삭감, 조정삭감 중 한 곳에 동그라미 표시로 의사를 표시하여 제출하셔야 하며, 의사표시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기권 처리됩니다.
또한 삭감요구서 집계표를 제출하지 않으신 경우는 불출석으로 처리되오니 반드시 모든 항목에 의사를 표시하여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사항은 배부해드린 계수조정 안내문을 참고해 주시기 바라며, 삭감요구서 및 집계표 작성을 위해 잠시 정회하고자 하는데 위원 여러분! 이의 없습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이의가 없으므로 지금부터 삭감요구서 집계표 작성이 완료될 때까지 정회를 선포합니다.

(15시 02분 회의중지)

(17시 10분 계속개의)

○위원장 송영월   
의석을 정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위원님들께서 제출해주신 삭감요구서를 취합해 전체 집계표를 작성하여 위원님께 배부해 드렸습니다.
삭감 요구는 일반회계에서만 3건에 31억 5120만 원 집계되었습니다.
지금부터 계수조정이 완료될 때까지 정회를 선포하고자 하는데 위원 여러분! 이의 없습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이의가 없으므로 지금부터 계수조정이 완료될 때까지 정회를 선포합니다.

(17시 11분 회의중지)

(18시 09분 계속개의)

○위원장 송영월   
의석을 정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심사한 2024년도 제3회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에 대한 계수조정 내역을 배부해 드렸으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4년도 제3회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에 대한 계수조정 결과를 구본길 부위원장님께서 발표하시겠습니다.
○부위원장 구본길   
부위원장 구본길입니다.
2024년도 제3회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에 대하여 집행기관의 설명과 질의답변을 통해 충분히 심사숙고한 결과, 일반회계 세출 예산 1조 2411억 원 중 1건에 120만 원을 삭감하였고, 특별회계 세출 예산 1228억 원과 기금 1830억 5000만 원은 원안대로 계상하였습니다.
그리고 일반회계에서 삭감된 예산은 내부유보금에 계상하였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배부해드린 유인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송영월   
구본길 부위원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토론 순서입니다.
토론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토론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토론 종결을 선포합니다.
의사일정 제3항 2024년도 제3회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은 본 위원회에서 계수조정하여 심사한 결과에 따라 수정한 부분은 수정안대로, 기타 부분은 공주시장이 제출한 원안대로 의결하고자 하는데 위원 여러분! 이의 없습니까?
(응답하는 위원 없음)
이의가 없으므로 2024년도 제3회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은 수정한 부분은 수정안대로, 기타 부분은 공주시장이 제출한 원안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이상으로 오늘 계획된 제1차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일정을 모두 마쳤습니다.
오늘의 회의 결과는 의장 및 본회의에 보고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2차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12월 2일 오전 10시에 개회하여 2025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심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존경하는 동료 위원 여러분! 그리고 관계 공무원 여러분! 수고하셨습니다.
산회를 선포합니다.

(18시 12분 산회)


공주시의회 의원프로필

홍길동

학력사항 및 경력사항

<학력사항>
<경력사항>
x close